스마트정책 개요

스마트 정책       스마트정책 개요
제목없음

스마트도시 인프라Smart City Infra

주요내용

서울 전역 네트워크 인프라 스마트서비스 통합제공 플랫폼 확대
스마트도시 서비스 개발·실증을 위한 특화 시범지구 조성
  • 서울 전역 스마트도시 통신인프라 구축
    • 도심권에 초고속 광통신망을 확충하여 사물인터넷(IoT)․공공와이파이, S-Dot, S-Pole 등 스마트도시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인프라 조성 등
    • ’23년까지 공공와이파이 11,030대 설치 및 도심권에 자가통신망 783㎞ 확충
  • 스마트서울 CCTV 설치·연계 확대로 시민 안전 강화
    • 방범 CCTV 확대, 지능형 CCTV 최적화 설치(169개소) 및 선별관제시스템 구축을 통한 관제 효율 향상
    • 市-區 CCTV관제센터 통합·연계를 통한 시민 안전망 서비스 강화
    • CCTV 관제 연계 확대 : ‘21년 15개 자치구 → ‘24년 25개 자치구
  • 스마트서비스 통합제공 플랫폼 확산(S-Pole)
    • 市 전역 공통 활용 가능한 스마트폴 표준모델 및 구축·운영지침 수립‧개정
    • 다양한 도로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표준모델 제시하고 적용하여 스마트서비스 확산 기반 마련
  • 스마트도시 특화 시범지구 조성
    • 스마트기술 기반의 인프라‧서비스 등 집중 구현 통해 지역 성공모델 개발 및 확산
    • 기업 개발 신기술·서비스 실증 적용, 우수모델 확산 및 상용화 방안 마련
    • 스마트도시 시범지구 : 2개소(‘21) → 총15개소(’25)

투자계획

투자계획
정책과정명 2021 2022 2023 2024 2025
세계 최고 스마트도시인프라 확충 127,072 11,066 14,728 46,366 27,298 27,614
1-1. 스마트도시 통신인프라 구축 67,951 3,520 8,473 32,010 11,074 12,874
1-2. 스마트서울 CCTV 설치·연계 확대로 시민 안전 강화 31,971 6,846 2,805 7,656 7,324 7,340
1-3. 스마트서비스 통합제공 플랫폼 확산(S-Pole) 2,450 700 250 500 500 500
1-4. 스마트도시 특화 시범지구 조성 24,700 - 3,200 6,200 8,400 6,900
(단위 : 백만원)

2025 시행사업

제목없음

스마트폴 표준모델 구축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통신과
추진배경
  • 안전한 등·하교 환경조성 및 운전자 스쿨존 교통법규 준수 대책마련 필요
  • 도로시설물 기본기능 뿐 아니라 스마트도시 핵심기능 수행 인프라로 진화 요구
사업내용
  • 통합안전 스마트폴 표준모델 구축확산
    • 어린이 보호구역 일대 교통사고 저감을 위한 통합안전 스마트폴 구축
      ‣ 과속·불법주정차단속·계도 CCTV, LED 안내판, 공공와이파이, 사물인터넷기기 등 설치
    • 각각 개별 설치되던 지주를 통합설치 추진으로 비용절감 및 도시미관 개선

      <통합안전 스마트폴 표준모델>

      <스마트폴 탑재기능 예시>

추진일정
  • 사업계획 수립 및 대상지 선정: ’25. 1. ~ 2.
  • 통합안전 스마트폴 구축사업 시행: ’25. 3. ~ 11.
  • 구축현황 조사 및 구축운영지침 개정: ’25. 11.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300 2,585 1,200 △1,385
제목없음

AI CCTV기반 실종자 고속검색시스템 구축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통신과
추진배경
  • 지능형 CCTV 객체인식 선별관제 기술 적용, 사회적약자 실종신고 접수 시 이동경로 등을 추적, 신속한 대응으로 안전 골든타임 확보
사업내용
  • 인공지능(AI) CCTV 고속검색시스템 구축: 자치구 4개년 연차별 추진
    • 실종위치 근거리 CCTV 영상의 객체 인식 및 비교, 검색, 추적 등
    • 고속검색시스템 시↔자치구 간 안전망서비스 연계 개발
  • 사업 수혜계층: 사회적 약자(아동, 치매환자, 정신지체 발달장애인)

추진일정
  • AI CCTV 기반 실종자 고속검색 시스템 구축계획 수립: ’25. 2.
  • 자치구 수요조사 및 예산재배정: ’25. 2. ~ 3.
  • 자치구별 구축사업 추진: ’25. 3. ~ 7.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200 1,200 1,400 200


※ 시비 100%, 200백만원 × 7개 자치구

제목없음

스마트빌리지 조성 및 확산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디지털정책과
추진배경
  • AI·데이터 등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 발굴과 실증·확산 등을 통해 지역사회의 디지털 전환 및 디지털 일상화 여건 조성
  • 디지털 기술이 주는 혜택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는 취약계층(어르신, 장애인 등)의 디지털 기반 스마트 서비스 활용 여건 조성
사업내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모를 통해 선정된 3개 자치구별로 사업 추진
    • (동대문) 전통시장, 기초생활 수급가구 밀집지역에 AI기반 교통안전시스템 보급
      ‣ AI 기반 보행자 안전시스템, 스마트 횡단보도, 과속경보계도시스템 등
    • (금천) IoT 기반 하수악취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고효율 악취저감시스템 구축
    • (서초) AI 기술을 활용한 하천, 도심지 침수재난 계측 및 알림 시스템 구축
추진일정
  • 3개 자치구별 사업 추진: ’25. 4.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3,618 3,604 △14
제목없음

24시간 사회적 안전망(안심이) 인프라 구축

소관부서
여성가족실 양성평등담당관
추진배경
  • 여성 및 1인가구 등 취약계층 시민들의 안전한 귀가 지킴이 안심이앱 기능을 개선하고 노후장비를 교체하여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사업내용
  • 안심지도·안심영상 등 4종 기능 개선 및 플랫폼 구성 변경
    • (안심지도) 안심시설 4종(방범비상벨, 가로등, 보안등, 안심경광등) 및 위험데이터(도로·건설공사, 신고 다발지역)를 추가, 네이버 맵 연동
    • (안심영상)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사용자 화면 객체 마스킹 기능 구현
    • (안심친구) 친구와 안심지도에서 경로공유 및 만남 기능 제공
    • (안심물품 연계) 안심벨(헬프미), 안심경광등의 앱 연계 기능 개선
      ▸ 배터리 잔량 체크 기능, 안심벨 백그라운드 모드 등
  • 안심이 보안장비 신규 교체
    • 내용연수 경과된 보안장비(자치구 설치)를 신품으로 교체 설치: 10식
  • 안심이 영상관제(100본) 및 망연계(2식) 솔루션 구매
추진일정
  • 영상관제 및 망연계 솔루션 구매: ’25. 3. ~ 6.
  • 안심이 보안장비 신규 교체: ’25. 3. ~ 8.
  • 2025년 안심이앱 기능 개선: ’25. 2.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374 739 549 △190
제목없음

서울 지하철 스마트관제센터 구축

소관부서
교통실 도시철도과
추진배경
  • 도시철도 호선 및 분야별 관제 분리 운영에 따른 효율성 저하 문제 해결을 위한 관제시스템의 공간적 ․ 기능적 통합 체계 구축 필요
  • 노후화된 관제시설 개량뿐만 아니라 AI 등 4차 산업기술을 도입하여 Big-data 분석 및 활용하여 도시철도 운영의 효율성 및 안전 확보 필요
사업내용
  • 내 용: 1~9호선 스마트 관제센터 구축(건물신축 및 관제시스템 구축)
  • 위치/규모: 군자차량기지 내 지하2층/지상6층(건축면적 5,199㎡, 연면적 28,036㎡)
  • 총사업비: 301,886백만원(시비 50%, 공사 50%)
  • 사업기간: 2017. 3. ~ 2025. 12.
추진일정
  • 시스템분야 제작 및 설치: ’25. 1. ~ 5.
  • 건축분야 신축 공사 : ’25. 2. ~ 7.
  • 시스템분야 종합시험/시운전 및 준공: ’25. 4.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8,917 - 42,659 42,659
제목없음

스마트서울 안전망(통합플랫폼) 안전협력체계 확대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통신과
추진배경
  •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처를 위해 스마트서울 안전망 이중화 및 기능 고도화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고 안정적인 운영 도모
사업내용
  • 스마트서울 안전망 기능 이중화 및 고도화
    • (이중화) 영상정보 서버존 및 스마트도시 안전망 이중화로 무중단 운영
    • (교체 및 개선) 노후 장비 교체 및 서비스 고도화로 안정적인 운영환경 조성
  • 스마트서울 안전망 안전협력체계 강화하여 서비스 대상 확대
    • (안전강화) 안전 취약계층 구조체계 구축을 위해 배회감지기 연계
      ▸ (’24년) 6개기관 16종 서비스 ⇒ (’25년) 7개기관 17종 서비스(1종 증가)
  • 긴급상황 발생 시 경찰·소방 유관기관에 실시간 영상 제공해서 위기 극복
    • (운영체계) 자치구(25개) ↔ 서울시 CCTV안전센터 ↔ 市 및 112․119상황실
추진일정
  • 추진방침 수립: ’25. 3.
  • 정보화사업 사전절차 추진: ’25. 3. ~ ’25. 5.
  • 사업발주 및 사업자 선정: ’25. 5. ~ ’25. 6.
  • 스마트서울 안전망 용역 사업 추진: ’25. 6. ~ ’25. 10.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222 581 359
제목없음

AI 기반 지능형 CCTV 고도화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통신과
추진배경
  • 1인 가구 등 범죄취약 지역이 밀집한 골목길 등에 CCTV 확대로 안전 사각지역 해소와 안전도시 조성
사업내용
  • 지능형 CCTV 신설 및 노후 CCTV 교체
    • (신규 설치) 빅데이터 분석결과 활용 안전 사각지역 발굴·설치 2,409대(85억)
    • (노후 교체) 내구연한(8년) 이상 CCTV 교체 3,473대(52억) ※ 10년 이상 우선
    • (지능형 전환) 배회, 폭력 등 자동감지 하는 지능형 CCTV 전환 12,180대(64억)
  • 市 전지역 안전 취약지역 빅데이터 분석결과 활용
    • (내용) 범죄율, 1인가구 등 9개 공공데이터 활용해 CCTV 우선설치지역 도출
    • (결과) 최우선 1,525개소, 우선 2,070개소, 관심 2,911개소, 양호 3,359개소, 우수 8,152개소
추진일정
  • 자치구 사업계획서 검토 및 보조금 교부: ’25. 3.
  • 각 자치구별 사업추진: ’25. 4. ~ 11.
  • 보조금 지원사업 추진현황 현장점검: ’25. 8. ~ 9.
  • 사업실적 보고 및 보조금 정산: ’25.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9,592 16,062 20,119 4,057
제목없음

스마트도시 공공 와이파이 조성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통신과
추진배경
  • 고품질·대용량 콘텐츠 증가로 인해 모바일 데이터 수요 및 사용량 급증
  • 데이터 중심 통신의 공공필수재化 → 시민부담 경감 및 디지털 격차 해소
  • 도시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스마트도시를 선도할 디지털 인프라 필요
사업내용
  • 공공와이파이용 기기 신설(280대)·교체(450대)로 품질개선 및 이용편의 제고
    • 주요거리, 관광명소, 전통시장, 복지시설 등 시민이용이 많은 장소 위주로 신설․교체
    • 구형 와이파이(WiFi4,5→WiFi6) 기기를 고성능으로 교체하여 최대 4배 빠른 통신속도 제공
  • 와이파이 성능 보장을 위한 시․구 합동 공공와이파이 장애처리기동대 운영
    • 장애 발생 시, 해당 자치구와 협력하여 신속한 복구체계 유지 ※ 관리대상:34,363대
  • 공공와이파이 이용 활성화를 위한 현장 중심 홍보 강화
    • 와이파이존 시인성 강화를 위해 기둥형 LED 안내판, 홍보표찰 등 지속 설치
    • 서울시 SNS 등 온라인 매체 활용 및 관광지에 외국어 홍보물 배포
추진일정
  • 공공와이파이 통합유지보수 용역 발주 및 시행: ’25. 1. ~ 12.
  • 이용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매체 활용, 연중 홍보 실시: ’25. 1. ~ 12.
  • 공공와이파이 구축 확대 및 고도화 사업 시행: ’25. 3.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7,769 8,024 8,803 779
제목없음

초고속정보통신 인프라 운영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통신과
추진배경
  • 자치구 자가통신망의 위험요소 사전예방 및 장애 신속대응력 확대
  • 외부의 위협으로 CCTV망의 안전지대 확대방안 마련
사업내용
  • 자치구 자가통신망 광감시 시스템 구축
    • 내용: GIS기반 24시간 광선로 이상감시 및 신속대응 시스템 구축
    • 지원금액: 2,700백만원 ▸ (공모) 3개 자치구, (지정) 3개 자치구
  • 자치구 CCTV망 보안강화
    • 내용: CCTV 영상정보에 대해 물리적인 보안관리 체계구축
    • 지원금액: 800백만원 ▸ (공모) 3개 자치구, (지정) 1개 자치구
  • 자치구 노후 정보통신시스템 교체
    • 내용: 내구연한 경과 노후 통후장비 교체
    • 지원금액: 300백만원 ▸ (지정) 1개 자치구
추진일정
  • 사업계획 수립 및 보조금 교부: ’25. 2. ~ 4.
  • 사업 완료보고서 제출 및 결산 등: ’25. 4.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 3,800 3,800

2024 시행사업

제목없음

스마트도시 공공 와이파이 확대 구축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통신과
추진배경
  • 고품질·대용량 콘텐츠 증가로 인해 모바일 데이터 수요 및 사용량 급증
  • 데이터 중심 통신의 공공필수재化 → 시민부담 경감 및 디지털 격차 해소
  • 도시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스마트도시를 선도할 디지털 인프라 필요
사업내용
  • 도심내 주요명소, 복지시설에 최대 4배 빠른 신형 와이파이로 700대 신설·교체
    • 인기명소 및 디지털약자 이용시설 대상 우선 교체('23년 만족도조사 반영)
    • 구형 와이파이 대비 최대 4배 이상 빠른 통신속도와 이용자 보안성(WPA3*)이 강화된 최신 규격의 WIFi6 이상으로 성능 개선(※ WPA3: Wi-Fi Protected Access 3)
  • 와이파이 장애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원스톱(One-Stop) 민원 관리체계 구축
    • 공공와이파이 통합유지보수 용역 발주 및 시행
    • 市-區 전담직원으로 구성된 「공공와이파이 장애처리 기동대」 운영
  • 공공와이파이 이용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연중 홍보 실시
    • 시인성 강화된 홍보물품(기둥형 LED 안내판, 홍보표찰) 도입하여 현장중심 홍보 강화
    • 서울시 SNS(인스타그램, 블로그 등) 및 홈페이지 등 온라인매체 활용 적극 홍보
추진일정
  • 공공와이파이 통합유지보수 용역 발주 및 시행 : '24. 1. ~ 12.
  • 이용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매체 활용, 연중 홍보 실시 : '24. 1. ~ 12.
  • 공공와이파이 구축 확대 및 고도화 사업 시행 : '24. 3.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7,006 8,256 8,024 32
제목없음

이동약자 실시간 화재안전 서비스 확대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디지털정책과
추진배경
  • 화재발생 시 대피하지 못한 이동약자의 위치정보를 신속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긴급 구조체계 구축 필요
  • 기존 유선 화재설비의 단점을 개선하는 이동약자 맞춤형 화재안전서비스 마련
사업내용
  • 화재안전관리플랫폼 상시 운영 용역 추진
    • 관리기능 운영(대시보드, 장애, 트래픽, 사용자 및 시스템 관리 등) 및 일일보고
    • 6개 이동약자시설 내 IoT센서 및 무선장비 작동상태 모니터링 및 대응
  • 화재 발생여부 판단 알고리즘 정교화
    • 무선화재감지기의 측정 데이터 DB축적 및 상관분석
    • IoT센서 설치장소별, 계절별 화재발생여부 판단 알고리즘 개발
  • 이동약자 화재안전서비스 확대를 위한 市-자치구 협력체계구축
    • (추진절차) 시설 선정기준(안)→자치구 수요조사→의견수렴→ 최종 선정
    • (추진내용) 관련 유관기관 역할 분담 및 예산 확보 방안 마련
추진일정
  • 화재안전관리플랫폼 운영 및 알고리즘 정교화 : '24. 1. ~ 12.
  • 화재안전플랫폼 확대를 위한 수요조사 : '24. 5. ~ 8.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2,147 514 328 △186
제목없음

AI CCTV 기반 실종자 고속검색 시스템 구축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통신과
추진목적
  • 지능형 CCTV 객체인식 선별관제 기술 적용, 사회적약자 실종신고 접수 시 이동경로 등을 추적, 신속한 대응으로 안전 골든타임 확보
사업내용
  • 인공지능(AI) CCTV 고속검색시스템 구축 : 자치구 4개년 연차별 추진
    • 실종위치 근거리 CCTV 영상의 객체 인식 및 비교, 검색, 추적 등
    • 고속검색시스템 시↔자치구 간 안전망서비스 연계 개발
  • 사업 수혜계층 : 사회적약자(아동, 치매환자, 정신지체 발달장애인)
추진일정
  • AI CCTV 기반 고속검색(실종자) 시스템 구축계획 수립 : '24. 4.
  • 자치구 수요조사 및 예산 재배정 : '24. 4. ~ 5.
  • 자치구별 구축사업 추진 : '24. 5. ~ 11.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642 1,200 1,200 -
※ 시비 100%, 200백만원 × 6개 자치구
제목없음

스마트서울 안전망(통합플랫폼) 안전협력체계 확대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통신과
추진배경
  • 시 전체 CCTV를 통합연계하여 긴급상황 시 112·119 등 유관기관에 CCTV 영상을 제공하여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골든타임 확보
사업내용
  • 市-자치구 CCTV관제센터 통합·연계 확대를 통한 시민 안전망 서비스 강화
    • 연계 확대(누적) : '20년 이전(8개구) → '21년(15개구) → '22(17개구) ⟶ '23년(25개구)
  • 112·119 연계 긴급 출동지원 등 스마트서울 안전망 서비스 지속 추진
  • 112·119 상황실에서 일선 경찰서, 소방서까지 서울시 통합플랫폼을 통한 CCTV 영상정보 중계기관 확대 추진 (⇒ 실시간 영상정보 공유 신속화)
추진일정
  • 스마트서울 안전망(통합플랫폼) 유지관리 : '24. 1. ~ 12.
  • 유관기관(경찰서, 소방서) 업무협의 : '24. 3. ~ 4.
  • 유관기간별 자체 연계 확대 추진 : ’24. 5.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1,200 2,234 1,034
※ 시구 5:5 매칭, 150백만원×8개 자치구
제목없음

지능형 CCTV 고도화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통신과
추진목적
  • 1인 가구 등 범죄취약 지역이 밀집한 골목길 등에 CCTV를 확대로 안전 사각지역 해소와 스마트 안전도시 조성
사업내용
  • 지능형 CCTV 신설 및 노후 CCTV 교체
    • (신규 설치) 빅데이터 분석결과 활용 안전 사각지역 발굴․설치 2,892대(90.4억)
    • (노후 교체) 내구연한(8년)이 이상 CCTV 교체 3,243대(48.6억) ※10년이상 우선
    • (지능형 전환) 배회, 폭력 등을 자동감지 하는 지능형 CCTV 전환 4,328대(21.6억)
  • 市 전지역 안전 취약지역 빅데이터 분석결과 활용
    • (내용) 범죄율, 1인가구 등 9개 공공데이터를 활용 CCTV 우선설치지역 도출
    • (결과) 최우선 1,525개소, 우선 2,070개소, 관심 2,911개소 양호 3,359개소, 우수 8,152개소
추진일정
  • 자치구 사업계획서 검토 및 보조금 교부 : '24. 3.
  • 각 자치구별 사업추진 : '24. 3. ~ 11.
  • 보조금 지원사업 추진현황 현장점검 : '24. 6. ~ 7.
  • 사업실적 보고 및 보조금 정산 : '24.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2,380 9,592 16,071 6,479
제목없음

통합안전 스마트폴 표준모델 확산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통신과
추진배경
  • 안전한 등·하교 환경조성 및 운전자 스쿨존 교통법규 준수 대책마련 필요
  • 도로시설물 기본기능 뿐 아니라 스마트도시 핵심기능 수행 인프라로 진화 요구
사업내용
  • 통합안전 스마트폴 표준모델 구축확산
    • 어린이 보호구역 일대 교통사고 저감을 위한 통합안전 스마트폴 구축
      ‣ 과속·불법주정차단속·계도 CCTV, LED 안내판, 공공와이파이, 사물인터넷기기 등 설치
    • 각각 개별 설치되던 지주를 통합설치 추진으로 비용절감 및 도시미관 개선

      <통합안전 스마트폴 표준모델>

      <스마트폴 탑재기능 예시>

추진일정
  • 사업계획 수립 및 대상지 선정: '24. 1. ~ 2.
  • 통합안전 스마트폴 구축사업 시행: '24. 3. ~ 10.
  • 구축현황 조사 및 구축운영지침 개정: '24. 10.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585 300 2,730 2,430
제목없음

스마트빌리지 조성 및 확산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디지털정책과
추진배경
  • 과기정통부 공모 사업 신청/접수 : ’23. 2월
  • 과기정통부 공모 결과 발표 : ’23. 3월
  • 국가균형발전 특별회계 예산편성 요구 및 조정: ’23. 4~8월
  • 국가균형발전 특별회계 예산 정부안 확정 통보: ’23. 9월
사업내용
  • 추진기관: 동대문구, 구로구, 관악구
  • 추진내용
    • (동대문) 전통시장, 기초생활 수급가구 밀집지역에 AI기반 교통안전시스템 보급
    • (구로) 외국인, 노후주택 밀집지역에 통합안전스마트폴, 스마트알림이 등 설치
    • (관악) 스마트 헬스케어, 여가문화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스마트경로당 조성
  • 추진방법: 자치구에 국비 교부 후 구별로 사업 추진
  • 사 업 비: 5,170백만원 (국비 3,618, 구비 1,552)
    • (동대문) 2,240백만원 (구로) 1,500백만원 (관악) 1,430백만원
추진일정
  • 신청기관 국비 교부 : '24. 3. ~ 5.
  • 동대문, 구로, 관악 사업 추진 : '24. 3.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 3,618(국비) 3,618

2023 시행사업

  • 스마트도시 인프라 확충 및 공공와이파이 확대 구축

    정보통신보안담당관
    • ㅇ 도시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스마트 도시를 선도할 스마트 인프라 필요
      ㅇ 데이터 중심 통신의 공공필수재化 → 시민부담 경감 및 데이터 격차 해소
      ㅇ 글로벌 도시에서 디지털 인프라 조성을 위해 공공 와이파이 추진
  • 이동약자 맞춤형 화재안전망 시범운영

    디지털정책담당관
    • ㅇ 화재발생 시 대피하지 못한 이동약자의 위치정보를 신속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긴급 구조체계 구축 필요
      ㅇ 기존 유선 화재설비의 단점을 개선하는 이동약자 맞춤형 화재안전서비스 마련
  • 지능형 CCTV 고도화

    정보통신보안담당관
    • ㅇ 1인 가구 등 범죄취약 지역이 밀집한 골목길 등에 CCTV를 확대로 안전 사각지역 해소와 스마트 안전도시 조성
  • AI CCTV 기반 실종자 고속검색 시스템 구축

    정보통신보안담당관
    • ㅇ '22년 AI CCTV 기반 치매노인 실종예방시스템 시범구축의 후속 사업으로 사회적약자(아동, 치매환자, 발달장애인) 실종사건 발생 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신속 대응 체계 마련
  • 스마트서울 안전망(통합플랫폼) 자치구 연계 구축

    정보통신보안담당관
    • ㅇ 시 전체 CCTV를 통합연계하여 긴급상황 시 112·119 등 유관기관에 CCTV
      영상을 제공하여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골든타임 확보
  • 스마트폴 표준모델 확산사업

    디지털정책담당관
    • ㅇ 디지털전환 가속화로 스마트도시서비스 수요 증가 대비 인프라 필요
      - 도로시설물 기본기능 뿐 아니라 스마트도시 핵심기능 수행 인프라로 진화요구
      ㅇ 다양한 도로환경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폴 표준모델로 체계적 확산유도
      - 市 및 산하기관 공통 활용을 통해 도시 전역 스마트폴 구축 확산기반 마련
  • 스마트시티 특구 조성 사업

    디지털정책담당관
    • ㅇ 다양한 지역현안 해결, 시민체감 서비스를 실증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 요구 증대
      ㅇ 일정지역에 시범사업 장기간 집중 추진·보완하여 도시전역 확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스마트도시 선도서비스 모델 마련 필요
  • 스마트도시 글로벌 인덱스 개발 및 스마트도시 상 제정

    디지털정책담당관
    • ㅇ 국제 스마트도시 네트워크를 선도하는 글로벌 경쟁력지수 개발 필요
      ㅇ 세계 최고 전자정부 역량을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글로벌 선도도시로의 재도약을 위해, ‘서울'을 브랜드로 한 글로벌 어워드 제정 추진 필요
  • 재난·재해 대비 SDDC기반 클라우드 환경 구축

    데이터센터
    • "ㅇ 정보서비스 중단시 심각한 시민불편 초래
      - '21.1월 클라우드센터 일부 교통정보시스템 장애 발생
      - '20.2월 서초센터 UPS 불안정으로 전체 정보시스템 셧다운
      ㅇ 급변하는 대외환경에 능동적․적극적 대응 필요
      -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을 통한 전자정부 서비스 고도화
      - 디지털전환(DX) 등 핵심 기술 바탕으로 클라우드 시장 급속 확장중"
  • 스마트 정수센터 구축(뚝도 AI 및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상수도사업본부
    • 산업계에서 미래의 수요량을 예측한 AI자동화 구축 진행 중
      펌프 가동결정, 약품투입 등 인간 결정 분야 AI 지원 가능
      원격 기술지원 및 설비 고장예측 통한 안전한 생산환경 구축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