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서울포털 스마트서울포털

스마트도시 및 정보화

스마트 정책       스마트도시 및 정보화
제목없음

디지털 행정혁신Digital Administrative Innovation

주요내용

시민들에게 보다 나은 행정 업무 서비스 제공을 위해 AI 기술 등을 활용한 내부행정 업무의 혁신 및 효율화 추진
  • 지능형 영상협업 시스템 구축
    • 市 조직도·메신저 등 내부시스템 연계하여 편리한 원격회의 사용 환경 구현
    • 민원상담 등 기존 행정서비스에 활용하여 시민 소통‧공유 기반 온라인 플랫폼 역할 수행
  • 행정처리 자동화(RPA) 구축
    • 서무업무 및 챗봇 현장민원 접수·분류 등 단순·반복적인 행정업무에 RPA 적용
    • RPA-인공지능(AI) 연계 활용하여 직원 업무부담 경감 및 행정 효율성 증대 ‘22년 본청 1차(6개 실국) 확산 → ’24년 사업소까지 확산 추진
  • 가상서울(S-Map) 기반 행정혁신 모델 확대
    • 디지털트윈 기반 실시간 수집 도시센서 데이터(온도 등)로 도시환경개선모델 구축
    • 교통, 화재 등 도시문제 모델링을 통한 예측시뮬레이션으로 다양한 도시문제 의사결정 지원 및 해결
  • XR 등 신기술 활용한 디지털 가상도시 서울 구현
    • 지능형 도시관리를 위한 미러(Mirror) 디지털 트윈조성(’22~)
    • 디지털 트윈 기반, 서울형 증강현실 XR 서비스 추진 및 실현(’22~’24)
    • XR 기반 스마트 증강도시 실현(’24~’25)
  • 인공지능 기반 하수관로 관리 효율화
    • 24개 하수관로 결함유형 기준에 따른 결함탐지 AI학습데이터 4만건 제작
    • 자치구 시범운영으로 개선점 발굴 통한 결함탐지 SW 고도화‧안정화 및 학습데이터 시민 개방 추진

투자계획

투자계획
정책과정명 2021 2022 2023 2024 2025
디지털 기반 행정혁신 가속화 17,782 3,611 3,534 2,267 5,300 3,070
2-1. 지능형 영상협업 시스템 구축 2,192 1,392 200 200 200 200
2-2. 행정처리 자동화(RPA) 구축 975 128 47 300 400 100
2-3. 가상서울(S-Map) 기반 행정혁신 모델 확대 8,345 1,791 2,617 667 2,600 670
2-4. 디지털 가상도시 서울 구현 5,600 100 500 1,000 2,000 2,000
2-5. 인공지능 기반 하수관로 관리 효율화 670 200 170 100 100 100
(단위 : 백만원)

2023 시행사업

  • 지능형 영상협업시스템 유지관리 및 고도화

    정보시스템담당관
    • ㅇ 영상회의시스템의 안정적 서비스 제공 및 품질 향상
      ㅇ 영상회의 사용자 안내 체계 구축 및 서비스 제공
      ㅇ 환경변화 및 사용자 요구, 정보보안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
  • RPA기반 자동화 대상업무 신규 발굴 및 시스템 운영

    정보시스템담당관
    • ㅇ RPA 도입을 통한 직원들의 단순․반복 업무 자동화 추세
      ㅇ 공공분야의 RPA 도입 사례 증가 및 효과성 입증
  • 디지털트윈 S-Map 서비스 확대

    공간정보담당관
    관련사이트
    • ㅇ 데이터기반의 공간분석을 통한 도시문제 선도적 대응체계 마련
      ㅇ 다양한 3차원 트윈DB 구축·활용으로 디지털 트윈 활용체계 개선
      ㅇ 고정밀 디지털트윈 환경에서 시민이 참여하는 도시문제 해결의 장 마련
  • 스마트 실감 Zone 시민체험 공간 조성

    공간정보담당관
    • ㅇ 확장현실(XR) 신기술을 통해 현실세계에서 즐기는 메타버스 서비스 구현
      ㅇ 디지털 약자 및 보행약자도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실감형 AR서비스 구축
      ㅇ 고품질 3D공간정보를 활용한 메타버스 서비스의 효율적 구축·공유체계 확립
  • 스마트행정을 위한 스마트서울맵 고도화

    공간정보담당관
    관련사이트
    • ㅇ 시스템 운영 및 정보시스템 환경 변화에 따른 지도 서비스 안정화 추진
      ㅇ 활용 부서 증가로 도시생활지도 300여개 이상으로 정보 공유 확대
      ㅇ 시민에 필요한 정책을 효과적으로 전달가능한 디지털 소통방법 필요
  • 서울 출산육아 만능키 구축

    양성평등담당관
    • ㅇ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서울` 구현을 위해 임신·출산·육아 관련 고민을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는 양육 포털 플랫폼 필요
  • 드론공간정보구축 및 운영환경 조성

    공간정보담당관
  • 서울영테크 청년재무관리 정보시스템 구축

    청년사업반
    • ㅇ 자산이 부족한 청년에게 필요한 맞춤형 재무상담과 금융교육을 제공하는 서울영테크 사업을 고도화하기 위하여 `청년재무관리 정보시스템`을 신규 개발하고자 함
  • 청년몽땅 정보통 웹사이트 재개발 및 유지관리

    청년정책반
    관련사이트
    • ㅇ 이용자가 신청 검색한 정보를 바탕으로 유사정책 추천 및 이를 자발적으로 확산할 수 있는 정책쇼핑 플랫폼 구현
      ㅇ 청년수당, 청년대중교통비, 마음건강 등 청년지원사업 추진 기반 플랫폼의 안정적인 운영
  • AI영상기반 검지시스템 구축

    교통운영과
    • ㅇ 잦은 도로 굴착 및 파손 등으로 루프검지기의 약 42% 고장에 따른 기능 유지 어려움, AI 영상기술을 적용하여 구조적 문제점 해결
  • 서울시 문화유산보존관리시스템 구축

    박물관과
    관련사이트
    • ㅇ '24년 개관 예정인 서울시 문화유산보존센터 업무 운영시스템 필요
      ㅇ 서울시 박물관․미술관 자료 통합검색 및 위탁소장품 통합관리 위해, 4개 기관 관리시스템들과 연계 등 전자적 관리체계 조성 필요
  • 지도정보 플랫폼 기반 서울 공간정보맵 연계 구축

    도시공간기획담당관
    관련사이트
    • ㅇ 스마트서울맵 시스템과 통합하여 안정적 서비스 제공
      ㅇ SDW중심 데이터 일원화 통해 최신데이터로 자동 갱신
      ㅇ 가독성 개선, 검색화면 통합 등 시스템 기능 및 사용자 환경 개선
      ㅇ 잠재공간 등 저이용 공간자원 활용시스템 기반 구축
  • 서울시 기존무허가건축물관리시스템 재개발

    건축기획과
    • ㅇ「서울시 기존무허가건축물관리시스템」을 독립서버로 이관하고 기존무허가건축물(약 2만 6천 동) 관련 대시민 서비스를 개선 필요
  • 서울 스마트시티센터 운영

    서울디지털재단
    관련사이트
    • ㅇ 시민체감형 디지털 공공‧민간 서비스 혁신을 위한 지원 거점 필요
      - 민간의 서울시 공간정보 데이터 확보‧접근 한계에 따라 이용 기회 필요
      - 고령층, 장애인 등 디지털 격차해소를 위해 눈높이에 맞는 서비스로 개선 필요
      ㅇ 시민-기업-전문가와 함께 ① 아이디어 발굴 ② 서비스 혁신 ③ 국내․외 실증 ④ 사례 확산 등 디지털 서비스 혁신 전주기 지원 인프라 운영
      - AI, 메타버스 등 스마트도시, 디지털 분야 초기기업들의 비즈니스 창출과 혁신 서비스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국‧내외 네트워크 교류 확대 필요
  • 가락시장 스마트물류시스템 구축(전자송품장 구축)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 ㅇ 산지 출하 단계 정보 수집‧분석을 통한 출하예약제 활성화 및 공정‧투명 거래 유도
      ㅇ 시장 유통‧물류 효율화 및 교통 혼잡 개선을 통한 공동물류 체계 도입
      ㅇ 가락시장 시설현대화 사업과 연계한 선진 물류시스템 도입 기반 마련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