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서울포털 스마트서울포털

스마트도시 및 정보화

스마트 정책       스마트도시 및 정보화
제목없음

디지털 경제Digital Economy

주요내용

코로나19로 인해 침체된 경제 활성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 프로그램 개발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인재 양성
  • 스마트시티 펀드 조성
    •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필요한 솔루션과 인프라에 대한 투자 기회 제공
    • 서울 소재 스마트시티 분야의 중소·벤처·창업기업 및 프로젝트 지원 등
      ‘22년까지 총2,655억원 조성(市 출자액 310억원)
  • 중소·스타트업의 성장과 판로개척 지원을 위한 혁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 제공
    • 테스트베드 사업추진체계 개선 및 사업범위 확대
    • 실증 진행과정 모니터링을 위한 ‘혁신기술 지원단’ 운영
      테스트베드 실증 기업수 : 30개(‘21년) → 55개(’25년) 증가
  • 4차 산업혁명 선도 기반 마련을 위한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 챌린지 방식 혁신 아이디어 경연대회 개최 및 아이디어 교류 장 마련
    • 개방형 플랫폼 도입으로 참여자간 교류를 통한 기술 융복합 지원
      예선 및 결선 통과 기업수 : 41개(‘21년) → 48개(’25년)
  • 7대 혁신산업 클러스터 조성, 운영으로 4차 산업혁명 선도기업 육성
    • 혁신산업 클러스터 조성 및 운영으로 혁신 성장기지 마련
    • 클러스터 중심의 혁신기업 육성으로 4차 산업형 양질의 일자리 창출
  •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지원으로 경제환경 변화 대응
    • (도심제조산업) 생산-유통이 원스톱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팩토리 추진
    • (중소기업 DX지원) 기업별 맞춤형 DX 실행요소 지원
      서울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 200개(‘22년) → 280개(’25년) 확대

투자계획

투자계획
정책과정명 2021 2022 2023 2024 2025
디지털 경제 활성화 지원 840,735 31,518 202,263 201,036 231,412 174,506
9-1. 스마트시티 펀드 조성 24,186 5,736 7,770 7,761 2,919 -
9-2. 혁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 제공 56,000 9,500 10,500 11,500 12,000 12,500
9-3.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11,696 2,112 2,112 2,192 2,640 2,640
9-4. 7대 혁신산업 클러스터 조성․운영 623,956 6,450 155,304 155,383 153,453 153,366
9-5.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지원 124,897 7,720 26,577 24,200 60,400 6,000
(단위 : 백만원)

2023 시행사업

  • 디지털대전환 및 녹색산업창업 등 펀드 조성

    경제정책과
    • ㅇ 민선 8기 디지털 선도도시 서울을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혁신 기술기반 중·소벤처기업 육성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ㅇ 서울형 R&D 지원사업에 참여한 초기기업 등 유망 혁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에 후속투자를 통한 서울시 정책제고 및 신선장 산업 육성
      ㅇ 2050 탄소중립 달성 등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녹색산업 육성
  • 혁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 제공

    경제정책과
    • ㅇ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지만 상용화·사업화 실적이 없어 판로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지원 필요
  •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경제정책과
    • ㅇ 챌린지 방식의 혁신아이디어 경연대회를 개최하여 혁신주체들 간의 상호 경쟁과 협력을 통해 기술의 융‧복합 촉진 및 기술개발 지원
  • 핀테크 산업 클러스터 육성

    금융투자과
    • ㅇ 국내 핀테크 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여 서울의 핀테크산업 생태계 구축
      ㅇ 성장단계별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핀테크 산업 분야 예비유니콘 기업 육성
  • 양재 AI 혁신지구 육성

    바이오AI산업과
    • ㅇ 양재는 민간연구소 집적, 교통편리성, 저이용 부지 활용 확장 가능성 등 도심형 R&D 혁신거점에 최적화된 입지여건 보유
      ㅇ 양재를 AI 중심의 미래 신산업 혁신거점으로 육성 추진 중('16.8.~)
  • 홍릉 바이오 클러스터

    바이오AI산업과
    • ㅇ 연구소․대학․병원․기업이 집적된 홍릉은 고학력 연구인력과 풍부한 R&D 역량을 보유하여 혁신성장 거점이 될 잠재력 보유
      ㅇ 창동 차량기지 이전 부지는 서울 내 사실상 마지막 대규모 가용토지로 신경제중심지로 조성 추진 필요
  • G밸리(서울디지털산업단지) 육성 및 운영

    전략산업기반과
    • ㅇ 서울시 최대 산업집적 및 고용 중심지인 G밸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ICT 기반 기업생태계 고도화 추진
  • 마곡 R&D 클러스터

    전략산업기반과
    • ㅇ 마곡산업단지 내 입주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통한 입주기업 참여기반 조성
      ㅇ 바이오, 메디컬 등 마곡 전략산업 분야 중심의 R&D 지원
  • 전자제조 창업기업 지원 및 집적지 조성

    창업정책과
    • ㅇ 제조·혁신 거점·클러스터 육성을 통해 산업생태계 활성화
      ㅇ IT융합산업 기업수 지속 증가하나, 서울 내 양산시설 부족
  • 스마트앵커 조성 및 서울시제조지원센터 운영

    뷰티패션산업과
    • ㅇ 도시형소공인 대상 업종별, 지역별, 성장단계별 맞춤형 솔루션 지원을 위한 핵심 거점공간 운영을 통하여 지역 소공인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서울경제진흥원
    관련사이트
    • ㅇ 비대면 경제 확산으로 ABC(AI, BigData, Cloud) 기술 중심 디지털 전환 가속화
      ㅇ 중소기업의 DX 지원을 위한 외부자원 유치 등 마중물 역할 수행 필요성 증대
  • 스마트도시 솔루션 해외진출 지원

    서울디지털재단
    관련사이트
    • ㅇ 스마트도시 솔루션(제품・서비스)의 해외 진출을 통한 서울의 글로벌 위상 강화 및 글로벌 리딩 도시 간 교류・협력체계 조성을 통한 성과 제고
      - 글로벌 리딩 스마트 도시로써 서울의 국제적 위상 확립을 위한 정책 마련 등 적극적인 대응 필요
      - 국내 솔루션의 해외시장 진출 수요뿐만 아니라 해외기업의 한국시장 중요도 및 사업성과 상승 추세 ※ 주한유럽상공회의소('22.2), 스타트업트렌드리포트('22.11)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