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정책 개요

스마트 정책       스마트정책 개요
제목없음

디지털 경제Digital Economy

주요내용

코로나19로 인해 침체된 경제 활성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 프로그램 개발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인재 양성
  • 스마트시티 펀드 조성
    •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필요한 솔루션과 인프라에 대한 투자 기회 제공
    • 서울 소재 스마트시티 분야의 중소·벤처·창업기업 및 프로젝트 지원 등
      ‘22년까지 총2,655억원 조성(市 출자액 310억원)
  • 중소·스타트업의 성장과 판로개척 지원을 위한 혁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 제공
    • 테스트베드 사업추진체계 개선 및 사업범위 확대
    • 실증 진행과정 모니터링을 위한 ‘혁신기술 지원단’ 운영
      테스트베드 실증 기업수 : 30개(‘21년) → 55개(’25년) 증가
  • 4차 산업혁명 선도 기반 마련을 위한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 챌린지 방식 혁신 아이디어 경연대회 개최 및 아이디어 교류 장 마련
    • 개방형 플랫폼 도입으로 참여자간 교류를 통한 기술 융복합 지원
      예선 및 결선 통과 기업수 : 41개(‘21년) → 48개(’25년)
  • 7대 혁신산업 클러스터 조성, 운영으로 4차 산업혁명 선도기업 육성
    • 혁신산업 클러스터 조성 및 운영으로 혁신 성장기지 마련
    • 클러스터 중심의 혁신기업 육성으로 4차 산업형 양질의 일자리 창출
  •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지원으로 경제환경 변화 대응
    • (도심제조산업) 생산-유통이 원스톱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팩토리 추진
    • (중소기업 DX지원) 기업별 맞춤형 DX 실행요소 지원
      서울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 200개(‘22년) → 280개(’25년) 확대

투자계획

투자계획
정책과정명 2021 2022 2023 2024 2025
디지털 경제 활성화 지원 840,735 31,518 202,263 201,036 231,412 174,506
9-1. 스마트시티 펀드 조성 24,186 5,736 7,770 7,761 2,919 -
9-2. 혁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 제공 56,000 9,500 10,500 11,500 12,000 12,500
9-3.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11,696 2,112 2,112 2,192 2,640 2,640
9-4. 7대 혁신산업 클러스터 조성․운영 623,956 6,450 155,304 155,383 153,453 153,366
9-5.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지원 124,897 7,720 26,577 24,200 60,400 6,000
(단위 : 백만원)

2025 시행사업

제목없음

스마트도시 솔루션 대외교류 및 확산

소관부서
서울디지털재단
추진배경
  • 스마트도시 솔루션의 해외진출을 통한 서울의 글로벌 위상 강화 및 글로벌 리딩 도시 간 교류·협력 체계 조성을 통한 성과 제고
  • 도시 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AI 기반 스마트도시 연구 활성화 및 AI 솔루션 활용 행정 혁신,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 지원
사업내용
  • 해외전시(SCEWC) 서울관 조성 및 운영
  • AI분야 글로벌 협력연구
    • 국내외 연구기관 협약, 도시문제 발굴, AI 솔루션 개발 및 행정에 실증
추진일정
  • (해외전시) 참여기업/용역사 선정: ’25. 5.
  • (해외전시) 서울관 운영: ’25. 11. 4. ~ 11. 6.
  • (협력연구) 도시문제 발굴, 공동연구, 업무협약: ’25. 3.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561 536 537 1
제목없음

도심형 스마트팜 조성·운영 지원

소관부서
민생노동국 농수산유통과
추진배경
  • 실외 경작공간 확보가 어려운 지역 특성을 고려하고 이상기후에도 구애 없는 실내활동을 기반으로 한 도시농업 추진
  • 수직농장 형태 스마트팜 조성으로 농작물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참여 프로그램 운영으로 미래농업과 다양한 도시농업 체험기회 제공
사업내용
  • 사업대상: 총 10개 자치구
    • (기존 6개소)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은평구, 송파구 / (신규 4개소) 공모 선정
  • 사업내용 : 도심형 스마트팜 조성 및 시민참여 프로그램 운영 지원
    • (사업 대상지) 자치구가 직접 운영·관리하는 실내 유휴공간(구청, 도서관 등)으로 향후 5년 이상 시설유지 및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한 곳
    • (시설) 인공 빛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생육환경을 원격․자동으로 적정하게 유지․관리하여 작물을 생산하는 수직농장(20㎡ 이상) 등
    • (프로그램) 스마트팜의 이해, 작물 식재·관리·수확 체험교육, 치유 원예프로그램 등
추진일정
  • 신규 조성 자치구 공모․선정: ’25. 2. ~ 4.
  • 자치구 사업 시행
    • (기조성 6개소) 연중 프로그램 운영, (신규조성 4개소) 11월 시설개장 및 프로그램 운영
  • 결과보고 및 정산: ’26. 1.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750 500 △250
제목없음

서울 로봇쇼 개최

소관부서
(재)서울경제진흥원
추진배경
  • 급격히 성장하는 로봇 산업 환경 속에서 국내 로봇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시포럼 등을 망라한 전시회 구축 필요
사업내용
  • 혁신 기술이 집약된 극한을 테마로 로봇 기술 발전 방향성 제시
    • 우수로봇 기술 및 기업 발굴을 위한 서울 로봇경진대회 추진
    • 극한 환경 속 국내 로봇 기업의 기술력을 선보이는 시연 무대 제공
  • 과거·현재·미래를 아우르는 종합적 로봇 기술 경험 제공
    • 로봇 산업을 시간순으로 살펴보는 로봇 세계관 전시
    • 육지, 수중, 우주, 재난을 테마로 하는 네 개의 극한로봇존 운영
    • 유망 로봇 기업제품 전시(약자 돌봄 로봇 포함) 및 로봇 체험관 운영
  • 로봇 산업 네트워크 확대·협력 강화 및 기업 성장 기회 제공
    • 글로벌 로봇 기술 인사이트 제공 및 기업-투자자 간 1:1 밋업 추진
추진일정
  • 서울 로봇쇼 개최계획 수립 : ’25. 3.
  • 서울 로봇쇼 운영사 모집공고 및 선정 : ’25. 4. ~ 5.
  • 서울 로봇쇼 개최 : ’25. 9. ~ 10.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 1,532 1,532
제목없음

약자를 위한 기술개발 지원사업

소관부서
경제실 경제정책과
추진배경
  • 사회적 약자가 일상생활에서 겪는 불편과 문제를 과학기술 개발을 통해 예방 및 해결하여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 향상 도모
사업내용
  • 약자 당면 문제 해결을 위하여 혁신기술이 적용된 제품․서비스를 복지관 등 수요기관에 현장 설치 후 기술개발 및 실증 지원
  • 실증 진행 후, 결과를 평가하여 시장 명의 실증확인서 발급
  • 실증 후 공공구매 등 판로개척 및 사업화 지원
    • 조달청 협약으로 혁신제품 등록 시 일부 지표 면제, 시범구매 연계 등 공공시장 진입 지원
추진일정
  • 공고 및 접수: ’25. 3. ~ 4.
  • 서류평가: ’25. 4. ~ 5.
  • 실증기관 의견조회: ’24. 5.
  • 심사·평가·선정: ’24. 5. ~ 6.
  • 선정과제 협약체결·실증: ’24. 7. ~ ’25. 상반기
  • 실증완료 과제 평가 및 실증확인서 발급: ’25. 하반기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023 2,017 2,200 183
제목없음

확장현실(XR) 산업 활성화

소관부서
경제실 창조산업과
추진배경
  • 서울특별시 전략산업 육성 및 기업지원에 관한 조례 제5조(전략산업의 선정)
  • 서울특별시 미래전략과제 발굴 및 육성 조례 제7조(지원사업)
  •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 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21조(대행 사업의 비용 부담)
사업내용
  • 서울 XR 기업 지원, XR 페스티벌 추진 및 「서울 XR 실증센터」확장 운영 등
    XR(eXtended Reality, 확장현실): 확장현실(XR)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아우르는 혼합현실(MR) 기술을 망라하는 기술

  • XR 기업 지원
    • 서울 소재 XR 중소기업 대상 XR 콘텐츠․디바이스 제작 지원(12개사, 총 9억원)
    • XR 초기기업 지원을 위한 기업 입주공간 제공(「서울XR실증센터」 내 XR 코워킹오피스)
    • 기업 공동관 운영 및 IR 피칭 등 XR 해외 전시회 참여 지원(AWE USA 2025)
  • 실증 기반 평가 지원
    • XR 기술 활용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실증센터 운영 지원(상시)
      ‣ (시설) 기술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한 실증 공간 및 장비 구축
      ‣ (운영) 연구개발기관 협업을 통해 XR 기술 실증 평가 시설‧서비스 효율적 운영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등
      ‣ (관리) 기업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경영‧기술 자문, 후속 보완 관리 등
    • XR 제품/서비스 및 기술의 실증 평가를 통해 차별화된 지원 체계 확립
  • XR 기술 확산 및 인프라 구축
    • 확장현실(XR) 인지도 확산을 위한 ‘XR페스티벌’ 개최(9월)
      ‣ XR 기업 간 교류 및 협업을 위한 기업 홍보부스 및 네트워킹 세션 운영
      ‣ 다양한 실감형 XR 콘텐츠를 체험 가능한 「XR 체험․전시」 부스 운영
    • 「창조산업 XR센터」 확대 조성 위한 리모델링 추진(’24.12.~’25.12.)
추진일정
  • XR 콘텐츠․디바이스 제작 지원: ’25. 3. ~ 12.
  • 해외 전시회 참여: ’25. 6.
  • 서울 XR 페스티벌 개최: ’25. 9.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계(백만원) - 1,517 3,795 2,278
확장현실(XR)산업 활성화 - 1,517 2,935 1,418
확장현실(XR) 융합산업 시험기반 구축 - - 860 860
제목없음

CES 서울통합관 조성 및 운영

소관부서
(재)서울경제진흥원
추진배경
  • 세계 최대 테크 전시회 CES 연계 서울 유망 스타트업의 글로벌 세일즈 기반 확보
  • 서울의 미래비전 및 첨단기술의 글로벌 홍보 확대를 위한 국내외 매체 협력 강화
사업내용
  • CES 서울통합관 조성 및 운영
    • CES 서울통합관의 글로벌 관람객 유입 확대를 위한 메인동선 내 전시공간 확보
    • 첨단기술 도시 서울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서울통합관 디자인 기획 및 구성
  • 서울 창업생태계 파트너십 협력 강화
    • 서울 창업생태계 구성하는 공공․대학․민간 파트너십 지속 발굴 및 협력 추진
    • 첨단테크 분야 유망 산업군 집중 발굴 및 육성을 통한 스타트업 브랜딩 강화
  • 서울통합관 참여기업 대상 비즈니스 지원 프로그램 운영
    • (혁신상 컨설팅) CES 서울통합관 참여 기업 전시성과 제고를 위한 전문 컨설팅 시행
    • (글로벌 협력) 서울 이노베이션 포럼 연계 기술 협력 등 글로벌 세일즈 기회 제공
    • (UKF 협력) 한인 창업자 커뮤니티 협업 강화 → 북미 시장 진출 교두보 확보
  • 참여기업 중심의 글로벌 홍보 및 미디어 노출 확대
    • ‘서울통합관’ 내 미디어센터 조성 통한 콘텐츠 직접 생산 및 배포 시행
    • CES 공식 미디어 행사(CES Unveiled) 활용 현지 매체 대상 글로벌 홍보 강화
추진일정
  • CES2026 서울통합관 파트너십 발굴 및 기업 모집: ’25. 3. ~ 5.
  • CES2026 혁신상 컨설팅 및 비즈매칭 지원: ’25. 6. ~ 11.
  • CES 서울통합관 조성 및 운영: ’26. 1.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2,589 2,310 2,175 △162
제목없음

혁신기술 개발지원(서울형 R&D 지원)

소관부서
경제실 경제정책과
추진배경
  • 딥테크 산업을 주도하고 도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중소·벤처·창업기업의 혁신기술 개발을 지원하여 글로벌 기술 대전환 시기에 대응 및 일자리 창출
사업내용
  • 추진근거: 서울시 전략산업육성 및 기업지원에 관한 조례
  • 지원항목: 인건비, 연구시설·장비비, 연구재료비, 연구활동비 등
  • 추진방법: 대행(서울경제진흥원)
  • 주요내용: 신성장산업 및 기업성장 R&D 8개 세부 사업 혁신기술 개발 지원
    • 신성장산업 R&D(AI·바이오·양자기술·로봇·창조산업·핀테크) 6대 분야 지원(195억원)
    • 기업성장 R&D(민간투자연계, 기술보증기금연계) 혁신기술 연구지원(68.2억원)
추진일정
  • 지원계획 통보(SBA→市) : ’25. 2월
  • 사업 통합공고(SBA): ’25. 3. ~ 4.
  • 지원과제 접수, 평가, 최종선정(SBA) : ’25. 4. ~ 6.
  • 협약체결, 기술개발 지원(市·SBA): ’25. 7. ~ ’26. 7.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22,090 22,120 26,320 4,200
제목없음

청년취업사관학교 조성 및 운영

소관부서
경제실 일자리정책과
추진배경
  • 중국발 딥시크의 등장으로 미래 AI 분야 주도권 확보를 위한 경쟁 심화
    • 한국의 AI 연구자 수는 세계 9위로 중국의 5% 수준에 불과 ※ 출처: KISTEP(’24년)
      ※ 중국(1위, 41만)-인도(2위, 20만)-미국(3위, 12만) … 한국(9위, 2만) 순
  • AI 시대 본격화 대비, 중․고급 개발자 양성 심화 교육 중심으로 전환
    • 기업의 중급 개발자 성장․안착을 위한 심화 교육과정에 대한 수요 증대
사업내용
  • AI 핵심․융합 인재 3천명 양성, 신규 캠퍼스 5개소 조성 목표
  • 취업의지가 있는 2030 청년 구직자 중심, 220개 과정 / 3,000명 교육
  • 미래산업 선도 AI 혁신 인재 양성, 전방위 취·창업 지원
    • (AI 인재 양성) AI 핵심과정 + AI 융합과정 운영
      ‣ (AI 핵심) AI 분야 핵심 기술 중심 교육 추진
      ‣ (AI 융합) 기존 SW(8개 분야), DX(4대 직무) 교육 + AI가 접목된 융합 교육
    • (취업지원) 잡코디 운영, 채용설명회 및 AI 인재 취업박람회 등 개최
    • (창업지원) BM/법률/회계 등 멘토단 구성(32명), 창업 자문
추진일정
  • 청년취업사관학교 참여자 모집·운영: ’25. 2. ~ 12.
  • AI 특화캠퍼스(마포·중구·종로) 참여자 모집·운영: ’25. 4. ~
  • 청년취업사관학교 신규 캠퍼스 개관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37,798 42,600 44,404 1,803
제목없음

마곡 R&D 클러스터 조성

소관부서
경제실 산업입지과
추진배경
  • 대·중·소기업이 상생하는 첨단 융·복합 산업단지 조성
  • 마곡산업단지 내 입주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통한 입주기업 지원
사업내용
  • 입주기업 입주 심사 및 계약체결, 착․준공 관리 추진
    • 마곡산단 내 우수기업 유치환경 조성을 통한 입주기업 성과창출 확대 기반 마련
  • 중소‧벤처·창업기업의 공간제공을 위한 마곡 R&D센터 건립 추진
    • 공공형 1개소(9천㎡), 민간형 2개소(27천㎡) 건립 및 입주계약 추진 ※’24년 2개소 건립 완료
  • 국내․외 산학연과 연계하여 마곡산단 중심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조성
    • 입주기업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및 해외 경쟁력 강화 지원
추진일정
  • 입주기업 계약체결 및 착․준공 관리: ’25. 1. ~ 12.
  • 공공형 마곡 R&D센터 건립 추진 : ’25. 1. ~ 12.
  • 마곡산단 중심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25. 1.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2,392 2,302 2,419 117
제목없음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운영

소관부서
서울시립과학관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추진배경
  • 시민을 대상으로 로봇, 인공지능 분야 전시·체험·교육의 경험 제공
  • 차별화된 콘텐츠의 개발·운영을 통해 발전하는 과학관으로서 과학문화 확산 및 저변 확대
  • 로봇,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시민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창의적 인재 양성
사업내용
  • 개관 2년차 운영 안정을 위한 효율적·전문적 운영 정착
  • 차별화된 전시해설 및 전시연계 프로그램 기획·운영
  • 과학기술 이해증진과 미래사회 시민의식을 위한 교육 및 과학문화행사 운영
  •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과학관 시설유지관리 및 전시물 유지관리
  • 외부자원 및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연계를 통해 협력 강화
  •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인지도 구축 및 호감도를 증대하는 기관 홍보
추진일정
  • 전시해설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 ’25. 2. ~ 12.
  • 방학특집 교육프로그램 및 행사: ’25. 7. ~ 12.
  • 신규 미디어파사드 및 기획전시 운영: ’25. 7.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494 3,161 3,382 221
제목없음

핀테크 산업 클러스터 육성

소관부서
경제실 금융투자과
추진배경
  • 핀테크 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을 통한 첨단 금융생태계 조성
  • 핀테크 분야 전문·실무인력 양성으로 금융 산업 선도할 인적 인프라 구축
사업내용
  • 성장기 핀테크 스타트업 스케일업 집중 지원을 위한 서울핀테크랩 운영
    • 기업 수요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 및 특화교육 진행으로 기업 역량 강화
    • 투자사 밋업, 데모데이, 금융·비금융권 협업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투자유치 촉진
    • 글로벌 진출 위한 해외 전시회 및 세미나 참가, 해외 금융업 라이선스 획득 지원
  • 핀테크·블록체인 분야 초기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제2서울핀테크랩 운영
    • 우수기업 적극 발굴·관리 및 생태계 조성 등 핀테크 초기 혁신기업 발굴·육성
    • 멘토링, 역량강화 교육, 금융규제 대응 지원 및 블록체인 특화 세미나 등 초기기업 안정화 지원
    • 정기 IR, 마케팅 전략분석, 진출 희망국가 검색엔진 최적화 지원 등 성장기반 조성
  • 디지털금융 산업 변화에 대응하는 현장 맞춤형 금융전문인력 양성
    • 전문·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디지털금융전문대학원 및 핀테크아카데미 운영
추진일정
  • 서울핀테크랩·제2서울핀테크랩 운영: 연중
  • 디지털금융전문대학원 학위·비학위과정 운영 : ’25. 2. ~ 12.
  • 서울핀테크아카데미 운영: ’25. 6.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 계(백만원) 11,758 12,349 10,293 △2,056
서울핀테크랩 운영 8,044 7,989 8,044 55
제2서울핀테크랩 운영 1,811 2,022 2,069 47
금융전문인력 양성 1,903 2,338 180 △2,158
제목없음

용산 Y밸리 전자제조 창업거점 조성

소관부서
경제실 창업정책과
추진배경
  • 제조·혁신 거점·클러스터 육성을 통해 산업생태계 활성화
  • IT융합산업 기업 수 지속 증가하나, 서울 내 양산시설 부족
사업내용
  • 전자제조(HW) 창업기업 입주 및 기술제조 지원 프로그램 운영
    • 전자제조 창업기업 혁신제품 선정 및 제품개발 지원
    • 전자보드 초도양산 및 3D모델링 지원, 기술제조기반 전문 교육 실시
  • 투자 및 마케팅 지원
    • 제품 출시를 위한 마케팅 포트폴리오 제작 지원 및 온라인 입점 지원
  • 전자제조 초도양산 장비 구축
    • 전자제조 및 생산관리 자동화 시스템, 산업용 3D제조 장비 구축
추진일정
  • 기술지원 기업 공모: ’25. 2. ~ 3.
  • 입주기업 연장 및 신규 선정 공모: ’25. 3. ~ 6.
  • 혁신제품 기업 선정 및 기술지원: ’25. 3. ~ 1
  • 국내외 전자제품 전시 출품 지원: ’25. 8. ~ 10.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667 1,769 1,793 24
제목없음

G밸리(서울디지털-산업단지) 육성 및 운영

소관부서
경제실 산업입지과, 첨단산업과
추진배경
  • 서울시 최대 산업집적 및 고용 중심지인 G밸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ICT 기반 기업생태계 고도화 추진
사업내용
  • (산업박물관) 전시 기획운영, 자료 수집 및 관리, 조사‧연구 등
  • (유망 스타트업 육성) 사무‧네트워킹 공간 제공,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운영
  • (의료기기 개발지원센터) 병원 의료기술 지원 연계한 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지원
  • (창업복지센터) 창업큐브, IoT기술지원센터, 직장맘지원센터 등
  • (G밸리 활성화 추진) G밸리 Week 개최
추진일정
  • G밸리 산업박물관 운영 : ’25. 1. ~ 12.
  • G밸리 유망 스타트업 육성사업 추진 : ’25. 1. ~ 12.
  • 의료기기 개발지원센터 운영 : ’25. 1. ~ 12.
  • G밸리 창업복지센터 운영 : ’25. 1. ~ 12.
  • G밸리 활성화사업 추진 : ’25. 1.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4,667 2,952 2,673 △279
제목없음

홍릉 일대 도시재생뉴딜사업 지원

소관부서
경제실 첨단산업과
추진배경
  • 연구소・대학・병원・기업이 집적된 홍릉은 고학력 연구인력과 풍부한 R&D 역량을 보유하여 혁신성장 거점이 될 잠재력 보유
사업내용
  • 사업목적: 글로벌 바이오 혁신거점 전략적 육성, 산・학・연・병 및 주민과 함께하는 창의환경 조성
  • 위 치: 동대문구 홍릉로 일대(면적 497,514㎡)
  • 사업내용: 앵커시설 조성, 특화산업 육성, 도시환경 개선 등
    • 마중물사업 6개, 지자체사업 11개, 공공기관투자사업 1개
추진일정
  • (첨단 바이오헬스센터) 설계용역 실시: ’25. 2. ~ ’26. 2.
  • (홍릉 R&D 지원센터) 건설공사 착공: ’25. 4. ~ ’27. 5.
  • (홍릉 스타트업 랩) 설계용역 실시: ’25. 2.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3,366 10,835 10,483 △352
제목없음

홍릉 바이오 의료 앵커 운영

소관부서
경제실 첨단산업과
추진배경
  • 경제성장 동력으로써 뿐 아니라 고령화, 삶의 질 개선 등 인류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서의 바이오산업 중요성과 성장 잠재력이 증대
  • 서울은 한국의 Big 5라고 불리는 세계적 수준의 병원이 소재, 신약 개발 임상시험 분야 세계 1위 도시(식약처, ’24.5)로 그 잠재성이 충분
  • 특히 연구소․대학․병원․기업이 집적된 홍릉은 고학력 연구인력과 풍부한 R&D 역량을 보유하여 혁신성장 거점이 될 잠재력 보유
사업내용
  • 사업목적: 홍릉 일대를 글로벌 바이오·의료 산업 거점으로 육성
  • 위 치: 동대문구 홍릉 일대(동대문구 회기동, 성북구 월곡동 등)
  • 사업내용: 기업 지원 인프라 조성, 기업 성장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
    • 서울바이오허브, BT-IT융합센터, 서울 바이오 산학협력센터 등 운영(7개동)
    • (성장지원) 개방형 혁신플랫폼 고도화 및 전략적 투자유치, 해외진출 지원
      ‣ 스타트업-앵커기업 간 오픈이노베이션 기회 제공(국내외 대·중견기업 26개사)
      ‣ 글로벌진출 성장가속프로그램(14개사), 전략적 투자·홍보지원(70개사, 70건)
    • (연구지원) 바이오 스타트업 특화교육 및 연구인프라 지원 고도화
      ‣ 수요기반 실무역량(임상시험, 해외진출, 경영실무 등) 강화 교육(연8회, 280명)
      ‣ 공용 연구시설(5개동 28실) 및 장비(109종 249점) 상시 이용지원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2,648 13,689 13,809 120
제목없음

양재 AI 혁신지구 육성

소관부서
경제실 첨단산업과
추진배경
  • 양재는 민간 연구소 집적, 교통편리성, 저이용 부지를 활용한 확장 가능성 등 도심형 R&D 혁신거점에 최적화된 입지여건 보유
    • 대중소기업 연구소 집적(300여개), 광역교통 요충지(양재IC, 경부고속도로 등), 풍부한 저이용 가용지(양곡도매시장, KCTC, 한국화물터미널 등)
      ‣ 삼성전자, LG전자, KT, 현대기아자동차 본사 등 대기업 및 중소 R&D 300여개 기업 입지
  • 시에서는 양재를 AI 중심의 미래 R&D거점으로 육성 추진 중(’16. 8.~)
    • 서울 AI 허브 조성, 인재양성 및 기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AI 대학원 유치 등
사업내용
  • 사업목적: 양재지역을 全 산업의 기반기술인 AI 융·복합 산업거점으로 육성
  • 위 치: 양재 AI 혁신지구(양재‧우면동 일대 약 300만㎡)
    • (주요 시설) 메인센터, 교총회관, 하이브랜드 빌딩, 희경빌딩, AI 교육센터
  • 주요사업: AI 기업성장 지원, AI 전문 인재 양성
    • (기업 성장지원) 입주 공간 제공, 투자유치 및 판로개척 지원, 국내외 네트워킹
    • (전문인재 양성) SW/HW 개발자 양성, AI 기업 재직자 역량강화, 융합교육
추진일정
  • AI 인재양성 및 글로벌 협력 추진 등 사업 운영: ’25. 1. ~ 12.
  • 강남데이터센터(GDC) 개관: ’25.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2,540 14,250 15,797 1,547
제목없음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소관부서
경제실 경제정책과
추진배경
  • 미래 신산업분야 발전에 따른 초기단계 혁신기술의 발굴
  •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초기 혁신기업의 안정적 성장을 지원
사업개요
  • 사 업 명: 제9회 서울혁신챌린지
  • 지원분야: AI 기술을 필수로 활용한 4차 산업혁명 관련 혁신기술 전 분야
  • 참가자격: 서울시 관할 세무서에 사업자등록이 된 중소기업
  • 지원내용
    • 과제당 100백만원 이내의 시제품제작비 차등 지급
    • 사업 수익구조 수립 및 투자 위한 자료 작성 등 전문 컨설팅, 멘토링
    • 투자 유치, 판로 확대 위한 프로그램 연계 지원
추진일정
  • 공고·접수: ’25. 3.
  • 선정평가(10개 과제 선정): ’25. 5. ~ 6.
  • 시제품 제작및 제품검증 지원: ’25. 8. ~ ’26. 1.
  • 최종평가: ’26. 3.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2,200 1,800 1,000 △800
제목없음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사업 운영

소관부서
경제실 경제정책과
추진배경
  • 혁신기술 개발 후 상용화·사업화가 어려운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지원
  • 기업의 혁신기술 적용 제품·서비스를 시정 현장에서 실증할 기회를 제공
사업개요
  • 시정 현장에서 혁신제품·서비스(시제품)을 사용하여 성능 확인
    (실증을 위한 비용 과제당 2억원 지원 / 기업은 25% 자부담)
  • 실증 진행 후, 결과를 평가하여 시장 명의 실증확인서 발급
  • 실증 후 공공구매 등 판로개척 및 사업화 지원
추진일정
  • 일반과제 공공·민간 대상 수요과제 조사: ~ ’25. 2.
  • 테스트베드 서울 공고 등 사업 추진: ’25. 3. ~
  • 실증평가 및 실증확인서 발급: ’26. 6. ~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1,322 9,000 8,000 △1,000

2024 시행사업

제목없음

디지털대전환 및 녹색산업창업 등 펀드 조성

소관부서
경제실 창업정책과
추진목적
  • 민선 8기 디지털 선도도시 서울을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혁신 기술기반 중·소벤처기업 육성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 서울형 R&D 지원사업에 참여한 초기기업 등 유망 혁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에 후속투자를 통한 서울시 정책제고 및 신선장 산업 육성
  • 2050 탄소중립 달성 등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녹색산업 육성
사업내용
  • (디지털대전환 펀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비즈니스 모델에서 디지털 전환을 창출한 분야의 창업기업에 벤처투자
  • (녹색기업창업 펀드) 친환경/저탄소 등 녹색산업 분야 첨단 혁신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 및 창업기업에 벤처투자
추진일정
  • 펀드 조성 : '24. 1.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1,690 8,300 6,610
제목없음

혁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 제공

소관부서
경제실 경제정책과
추진배경
  • 혁신기술 개발 후 상용화·사업화가 어려운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지원
  • 기업의 혁신기술 적용 제품·서비스를 시정 현장에서 실증할 기회를 제공
사업내용
  • 시정현장에서 혁신제품·서비스(시제품)을 사용하여 성능 확인 (실증을 위한 지원금 과제당 최대 3억원 지원 / 기업은 25% 자부담)
  • 실증 진행 후, 결과를 평가하여 시장 명의 성능확인서(레퍼런스) 발급
  • 실증 후 공공구매 등 판로개척 및 사업화 지원
추진일정
  • 1차(일반과제) 수요조사, 공고 및 접수 : '24. 3. ~ 4.
  • 2차(협력과제 등) 공고 및 접수 : '24. 4.
  • 실증기관 의견 조회 : '24. 4. ~ 5.
  • 기술제안 심사·평가·선정 : '24. 5. ~ 6.
  • 선정과제 협약체결·실증 : '24. 7. ~ '25. 상반기
  • 실증완료 과제 평가 및 실증확인서 발급 : '25. 하반기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0,026 11,322 9,000 △2,322
제목없음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소관부서
경제실 경제정책과
추진배경
  • 미래 신산업분야 발전에 따른 초기단계 혁신기술의 발굴
  •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초기 혁신기업의 안정적 성장을 지원
사업내용
  • 사 업 명 : 제8회 서울혁신챌린지
  • 지원분야 : 4차 산업혁명 관련 혁신기술
  • 참가자격 : 서울 소재 중소기업(해외기업 참가 가능)
  • 지원내용
    • 과제당 8천만원 이내의 시제품제작비 지급
    • 시장조사보고서, 기술평가보고서 제작, 전문 컨설팅 등 제품검증 지원
    • 월드IT쇼·CES 등 박람회, 특허·디자인 컨설팅 등 후속지원
추진일정
  • 공고·접수 : '24. 3.
  • 선정평가(10개 과제 선정) : '24. 5. ~ 6.
  • 시제품 제작및 제품검증 지원 : '24. 7. ~ 12.
  • 최종평가 : '25. 1.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2,390 2,200 1,800 △400
제목없음

핀테크 산업 클러스터 육성

소관부서
경제실 금융투자과
추진배경
  •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대응한 핀테크 산업 고도화 및 역량강화
  • 기업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핀테크 분야 예비유니콘 육성
사업내용
  • 유망 핀테크 스타트업 스케일업 집중 지원․육성을 위한 서울핀테크랩 운영
    • ‘기획·개발·마케팅’일괄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으로 스케일업 지원
    • 기업 간 네트워킹 활성화, 전문 멘토 확보를 통한 맞춤형 액셀러레이팅 지원
    • 글로벌 네트워크‧투자유치 지원, 국내외 금융권 유관기관 등과 협업 지원
  • 초기 핀테크 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제2서울핀테크랩 운영
    • 사무공간 지원, 멤버십 핫데스크 등 초기기업 맞춤형 핀테크 인큐베이터 운영
    • 회계, 경영, 법무 등 경영 안정화(실무교육, 컨설팅 등) 및 BM 고도화 지원
    • 투자유치, 해외진출, 규제개선 지원 등을 통해 ‘초기 → 성장’ 기업으로 육성
  • 디지털금융분야 전문인력 수요증가에 대응하여 현장형 인재 양성
    • 전문․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디지털금융전문대학원 및 핀테크 아카데미 운영
추진일정
  • 서울핀테크랩․제2서울핀테크랩 운영 : 연중
  • 서울핀테크아카데미 운영 : '24. 5~10월
  • 디지털금융전문대학원 봄학기/가을학기 개강 : '24. 3월 / 9월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0,625 11,806 12,726 920
제목없음

양재 AI 혁신지구 육성

소관부서
경제실 첨단산업과
추진배경
  • 양재는 민간연구소 집적, 교통 편리성, 저이용 부지 활용 확장 가능성 등 도심형 R&D 혁신거점에 최적화된 입지여건 보유
  • 양재를 AI 중심의 미래 신산업 혁신거점으로 육성 추진 중('16.8.~)
사업내용
  • 사업목적 : 양재 지역을 전산업의 기반기술인 AI 융・복합 혁신거점 조성
  • 위 치 : 양재・우면동 일대
  • 사업내용 : AI 인프라 조성, AI 기업 성장 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
추진일정
  • (AI 인프라 조성)
    • 양재 AI 도시개발사업 타당성 조사 의뢰('24.3.), 서울 AI 허브 개관('24. 5.)
  • (AI+X 융․복합) AI기술과 산업분야 융·복합을 통한 동반성장
    • AI기반 타 산업 진출을 위한 AI+바이오, AI+핀테크 전문가 양성(100명, ’24.3~12월)
    • 공군과 오픈이노베이션 공동개최(연2회), 및 테스트베드 프로그램 실시(’24.4~12월)
  • (기업 성장 지원) 전문인재 양성 및 해외진출 지원
    • AI 반도체 전문인재 양성 및 차별화된 창업․취업 지원 교육 운영(’24.2~12월)
    • 글로벌 AI 연구기관 등과 협력 및 해외 진출 지원을 통한 AI 기업 스케일업(’24.2~’25.1월)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1,559 22,110 13,598 △8,512
제목없음

홍릉 바이오 클러스터 육성

소관부서
경제정책실 첨단산업과
추진배경
  • 연구소․대학․병원․기업이 집적된 홍릉의 고학력 연구 인력과 풍부한 R&D 역량을 활용하여 서울의 바이오·의료 산업 육성 정책 추진
사업내용
  • 사업목적 : 홍릉 일대를 글로벌 바이오·의료 산업 거점으로 육성
  • 위 치 : 동대문구 홍릉 일대(동대문구 회기동, 성북구 월곡동 등)
  • 사업내용 : 기업 지원 인프라 조성, 기업 성장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
    • 서울바이오허브, BT-IT융합센터, 서울 바이오 산학협력센터 등 운영(7개동)
추진일정
  • (인프라 확충) 성장 지원 및 글로벌화를 위한 바이오허브 확대
    • 바이오기업 해외 진출·입 종합 지원 시설, ‘서울바이오허브 글로벌센터’ 개관(’24.4월)
    • 의료기기 개발과 임상지원 공간, 첨단의료기기 개발센터 조성(’27년)
  • (기업 성장 지원) 인재양성, 글로벌기업 협력 및 해외진출 지원
    • 바이오기업 수요에 기반한 임상·인허가 등 실무인재 양성(150명, ’24.4.~11월)
    • 유망기업 선발챌린지 확대(3→5개), 현지특화 해외시장 진출 지원(20개사, ’24.5.~11월)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5,161 16,923 22,410 5,487
제목없음

G밸리(서울디지털산업단지) 육성 및 운영

소관부서
경제정책실 산업입지과, 첨단산업과
추진배경
  • 서울시 최대 산업집적 및 고용 중심지인 G밸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ICT 기반 기업생태계 고도화 추진
사업내용
  • (산업박물관 운영) 전시 기획운영, 자료 수집 및 관리, 조사‧연구 등
  • (유망 스타트업 육성) 사무‧네트워킹 공간 제공, 기업 성장 프로그램 운영
  • (의료기기 개발지원센터 운영) 기술사업화 과정, 사용적합성 평가 등 지원
  • (창업복지센터 운영) 창업큐브, IoT기술지원센터, 직장맘지원센터 등
  • (G밸리 활성화 추진) G밸리 Week 개최 등
추진일정
  • G밸리 산업박물관 운영 : '24. 1 ~ 12
  • G밸리 유망 스타트업 육성사업 추진 : '24. 1 ~ 12
  • 의료기기 개발지원센터 운영 : '24. 1 ~ 12
  • G밸리 창업복지센터 운영 : '24. 1 ~ 12
  • G밸리 활성화사업 추진 : '24. 1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6,617 5,083 2,895 △2,188
제목없음

마곡 R&D 클러스터

소관부서
경제정책실 산업입지과
추진목적
  • 대·중·소기업이 상생하는 첨단 융·복합 산업단지 조성
  • 마곡산업단지 내 입주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통한 입주기업 지원
사업내용
  • 중소‧벤처·창업기업의 공간제공을 위한 마곡 R&D센터 건립 추진
    • 공공형 1개소(9천㎡), 민간형 4개소(43천㎡) 건립 추진
  • 기업수요 맞춤 지원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 추진
    • 마곡 테크커넥트 개최(컨설팅 지원)
    • 산업거점 혁신 융복합 사업 지원(3개 프로젝트 총 1억 2천만원)
추진일정
  • 마곡 테크 커넥트 개최 : '24. 1. ~ 12.
  • 산업거점 혁신 융·복합 사업추진 : '24. 1. ~ 12.
  • 공공형 마곡 R&D센터 건립 추진 : '24. 1.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2,404 2,425 2,347 △78
제목없음

전자제조 창업기업 지원 및 집적지 조성

소관부서
경제정책실 창업정책과
추진배경
  • 제조·혁신 거점·클러스터 육성을 통해 산업생태계 활성화
  • IT융합산업 기업수 지속 증가하나, 서울 내 양산시설 부족
사업내용
  • 전자제조(HW) 창업기업 입주 및 기술제조 지원 프로그램 운영
    • 전자제조 창업기업 혁신제품 선정 및 제품개발 지원
    • 전자보드 초도양산 및 3D모델링 지원, 기술제조기반 전문 교육 실시
  • 투자 및 마케팅 지원
    • 제품 출시를 위한 마케팅 포트폴리오 제작지원 및 온라인 입점 지원
  • 전자제조 초도양산 장비 구축
    • 전자제조 및 생산관리 자동화 시스템, 산업용 3D제조 장비 구축
추진일정
  • 기술지원 기업 공모 : '24. 2. ~ 3.
  • 입주기업 연장 및 신규선정 공모 : '24. 3. ~ 5.
  • 혁신제품 기업선정 및 기술지원 : '24. 3. ~ 12.
  • 국내외 전자제품 전시 출품 지원 : '24. 8. ~ 10.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544 1,667 1,770 103
제목없음

스마트도시 솔루션 해외진출 지원

소관부서
서울디지털재단
추진배경
  • 스마트도시 솔루션(제품・서비스)의 해외 진출을 통한 서울의 글로벌 위상 강화 및 글로벌 리딩 도시 간 교류・협력체계 조성을 통한 성과 제고
    • 서울소재 우수 혁신 솔루션의 글로벌 전시 참여 지원을 통한 비즈니스 성과 창출 및 도시 간 교류 활성화로 서울의 도시 경쟁력 강화
    • 스마트시티 기업, 솔루션 등 혁신자원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글로벌 협력 기반의 지속가능성과 포용성 확장
사업내용
  • 해외 전시 서울관 조성 및 운영(SCSE·SCEWC)
    해외 전시 서울관 조성 및 운영(SCSE·SCEWC)표: 구분, 전시기간, 조성규모, 참여기업, 운영방식으로 구성
    구분 전시기간 조성규모 참여기업 운영방식
    SCSE 2024 '24.3.19.~3.22. 약 16평 5개사 자치구, 출연기관, 대학 등과 다자간 종합계약 체결을 통한 서울관 공동운영
    SCEWC 2024 '24.11.5.~11.7. 약 45평 10개사
  • 글로벌 도시 간 교차실증 협력기관 발굴 및 현지 실증 지원(5식)
추진일정
  • (SCSE)참여기업 및 용역사 선정(2월), 서울관 운영 : '24. 3. 19.~ 22.
  • (SCEWC) 참여기업/용역사 선정(8월), 서울관 운영 : '24. 11. 5. ~ 7.
  • (교차실증) 실증과제 선정(4~5월), 수요처 발굴 및 실증 추진: '24. 6.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791 561 536 △25
제목없음

서울퓨처랩 운영

소관부서
경제정책실 경제정책과
추진배경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생활상을 미리 경험해 볼 수 있는 공간 조성
  • 쉽고 재미있는 미래기술 체험활동을 통한 시민의 미래기술 수용력 제고
사업내용
  • 체험 프로그램 운영
    • 단체체험 프로그램 : 학교 등 대상으로 단체교육 및 기술체험 교차 실시
    • 개인체험 프로그램 : 라운딩(체험관 전체견학), 기술체험(10개 프로그램)
  • 특별 강의 운영
    • 주말 및 방학기간 신기술 체험 특강 개설 운영
  • 시민참여행사 개최
    • 기존 프로그램에는 없던 새로운 기술들을 체험 가능한 일일 특별행사
    • 어린이날 체험행사(5월), 서울퓨처랩 팝업데이(10월)
추진일정
  • 2024년 서울퓨처랩 운영: '24. 1.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1,452 1,323 △129
제목없음

서울로봇테크센터 조성 기본계획 수립

소관부서
경제정책실 경제정책과
추진배경
  • 수서는 우수한 교통여건, 인재확보 및 투자유치 용이, 기존 신산업 거점과 연계 가능성 등 로봇산업 육성에 최적화된 입지 강점 보유
  • 수서 일대를 로봇 클러스터로 조성 중으로, 로봇산업 육성을 견인하는 종합지원시설 구축 필요
사업내용
  • 위 치 : 서울시 강남구 수서동 735번지 (수서역 공영주차장)
  • 사업내용 : 로봇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로봇벤처 종합지원 앵커시설 구축
    • 로봇시제품 사업화 : 시제품 사업화 촉진, 로봇 스타기업 육성
    • 스타트업 종합지원 : 성장단계별 맞춤지원, 기술개발‧자금‧공간 지원
    • 산·학·연 집적 : 로봇기관 분원유치, 공동프로젝트 추진
  • 사업기간 : ’23.10월 ~ ’30년
  • 조성방안 : 수서역 공영주차장 복합개발 사업 연계 (SH공사 시행)
    • 첨단주차장, 로봇테크센터, 주거·업무·상업시설 등
추진일정
  • 기본계획 수립 : '24. 2. ~ 6.
  • 타당성조사, 지구단위계획 변경, 투자심사 : '24. 7. ~ '25. 9.
  • 설계공모, 기본 및 실시설계, 공사시행 : '25. 10. ~ 30.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제목없음

확장현실(XR) 산업 활성화

소관부서
경제정책실 창조산업과
추진목적
  • 미래 산업환경에서 창조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그 핵심 기술로서 확장현실(XR) 산업을 집중 육성, XR 산업 생태계 활성화
사업내용
  • 대상 : XR 기술 융․복합 가능한 서울 소재 중소 기업
  • 시설 : DMC 첨단산업센터 코워킹오피스 및 XR실증센터
  • 내용 : 기업 선발 지원 및 XR 서비스 실증 연계, 인프라 구축
    • (기업지원) 국방․의료 등 XR 기술 융복합 우수 기업 지원 및 기술 실증 평가 지원
      • 지원규모 : 서울 소재 중소기업 10개 사, 총 9억 원 규모 지원
      • 지원단계 : ① 기업 선발․사업화 지원 ‣ ② 실증센터 실증․평가 ‣ ③ 후속 보완 ‣ ④ 출시
    • (확산) XR 페스티벌, 네트워킹 등 행사 개최를 통해 고객 확보 및 저변 확대
    • (인프라) XR 기술 개발 기반 조성을 위한 서울XR실증센터 연계 및 장비 구축
추진일정
  • XR 기술 활용 콘텐츠/디바이스 제작 기업 지원: '24. 4. ~ 11.
  • 서울 XR 페스티벌 개최: '24. 9.(예정)
  • XR 실증 시설 등 인프라 구축: '24. 9.~10.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 1,518 1,518

2023 시행사업

  • 디지털대전환 및 녹색산업창업 등 펀드 조성

    경제정책과
    • ㅇ 민선 8기 디지털 선도도시 서울을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혁신 기술기반 중·소벤처기업 육성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ㅇ 서울형 R&D 지원사업에 참여한 초기기업 등 유망 혁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에 후속투자를 통한 서울시 정책제고 및 신선장 산업 육성
      ㅇ 2050 탄소중립 달성 등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녹색산업 육성
  • 혁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 제공

    경제정책과
    • ㅇ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지만 상용화·사업화 실적이 없어 판로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지원 필요
  • 서울혁신챌린지 개최

    경제정책과
    • ㅇ 챌린지 방식의 혁신아이디어 경연대회를 개최하여 혁신주체들 간의 상호 경쟁과 협력을 통해 기술의 융‧복합 촉진 및 기술개발 지원
  • 핀테크 산업 클러스터 육성

    금융투자과
    • ㅇ 국내 핀테크 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여 서울의 핀테크산업 생태계 구축
      ㅇ 성장단계별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핀테크 산업 분야 예비유니콘 기업 육성
  • 양재 AI 혁신지구 육성

    바이오AI산업과
    • ㅇ 양재는 민간연구소 집적, 교통편리성, 저이용 부지 활용 확장 가능성 등 도심형 R&D 혁신거점에 최적화된 입지여건 보유
      ㅇ 양재를 AI 중심의 미래 신산업 혁신거점으로 육성 추진 중('16.8.~)
  • 홍릉 바이오 클러스터

    바이오AI산업과
    • ㅇ 연구소․대학․병원․기업이 집적된 홍릉은 고학력 연구인력과 풍부한 R&D 역량을 보유하여 혁신성장 거점이 될 잠재력 보유
      ㅇ 창동 차량기지 이전 부지는 서울 내 사실상 마지막 대규모 가용토지로 신경제중심지로 조성 추진 필요
  • G밸리(서울디지털산업단지) 육성 및 운영

    전략산업기반과
    • ㅇ 서울시 최대 산업집적 및 고용 중심지인 G밸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ICT 기반 기업생태계 고도화 추진
  • 마곡 R&D 클러스터

    전략산업기반과
    • ㅇ 마곡산업단지 내 입주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통한 입주기업 참여기반 조성
      ㅇ 바이오, 메디컬 등 마곡 전략산업 분야 중심의 R&D 지원
  • 전자제조 창업기업 지원 및 집적지 조성

    창업정책과
    • ㅇ 제조·혁신 거점·클러스터 육성을 통해 산업생태계 활성화
      ㅇ IT융합산업 기업수 지속 증가하나, 서울 내 양산시설 부족
  • 스마트앵커 조성 및 서울시제조지원센터 운영

    뷰티패션산업과
    • ㅇ 도시형소공인 대상 업종별, 지역별, 성장단계별 맞춤형 솔루션 지원을 위한 핵심 거점공간 운영을 통하여 지역 소공인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서울경제진흥원
    관련사이트
    • ㅇ 비대면 경제 확산으로 ABC(AI, BigData, Cloud) 기술 중심 디지털 전환 가속화
      ㅇ 중소기업의 DX 지원을 위한 외부자원 유치 등 마중물 역할 수행 필요성 증대
  • 스마트도시 솔루션 해외진출 지원

    서울디지털재단
    관련사이트
    • ㅇ 스마트도시 솔루션(제품・서비스)의 해외 진출을 통한 서울의 글로벌 위상 강화 및 글로벌 리딩 도시 간 교류・협력체계 조성을 통한 성과 제고
      - 글로벌 리딩 스마트 도시로써 서울의 국제적 위상 확립을 위한 정책 마련 등 적극적인 대응 필요
      - 국내 솔루션의 해외시장 진출 수요뿐만 아니라 해외기업의 한국시장 중요도 및 사업성과 상승 추세 ※ 주한유럽상공회의소('22.2), 스타트업트렌드리포트('22.11)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