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정책 개요

스마트 정책       스마트정책 개요
제목없음

사이버 안전도시Cybersecure City

주요내용

(내부) 정보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이버 보안 관련 문제 해결
(외부) 시민들의 개인정보보호 서비스 확대·강화
  • 인공지능(AI) 기반 보안관제 플랫폼 구축을 통한 사이버 공격 선제 대응
    • 시범사업 추진 및 지도학습 방식을 통한 침해사고 예측 모델 개발
    • 시범사업 결과 분석을 반영한 AI기반 보안 관제 확대(’22~)
      침해사고 예측 정확도 : 80%(‘21년) → 95%(’25년)
  •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가명처리 지원센터 구축·운영
    • 가명정보 처리 환경 구축(’21년) 및 서울시 가명처리 절차·기준 마련
    • 전기관 데이터 이용 활성화 위한 가명정보 관련 실무교육 및 가명처리 기술(가명처리 지원센터 운영) 지원
  • 개인정보 유출 및 오남용 모니터링 체계 강화
    • AI 기반의 개인정보 접속기록 관제시스템 구축·운영으로 개인정보 유·노출 및 오남용 실시간 대응 방안 마련(’21)
    • 홈페이지 게시판 內 개인정보 업로드·다운로드 시 노출 차단 및 개인정보처리시스템 상시 모니터링을 통한 개인정보 유·노출 예방

투자계획

투자계획
정책과정명 2021 2022 2023 2024 2025
사이버안전 도시 실현 10,019 2,328 2,191 1,800 1,800 1,900
6-1. 인공지능(AI) 기반 보안관제 플랫폼 구축 1,960 941 1,019 - - -
6-2.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가명러치 지원센터 구축·운영 450 50 100 100 100 100
6-3. 개인정보 유출 및 오남용 모니터링 체계 강화 7,609 1,337 1,072 1,700 1,700 1,800
(단위 : 백만원)

2025 시행사업

제목없음

AI 보안관제시스템 고도화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보안과
추진배경
  • 사이버위협 증가에 따른 데이터 용량에 대응하기 위한 고도화 추진
  • 인공지능 학습데이터의 市 내부보안 및 외부기관 데이터 학습 확대로 인공지능 모델 학습 최적화 필요
사업내용
  • 보안관제 대상 확대에 따른 데이터 증가로 저장용량 저장방식 변경
    • 처리용량 기존 대비 2배 증설 및 클러스터 분산 처리로 저장, 검색 속도 향상
  •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수집 모델 다각화를 통한 분석기능 고도화
    추진일정
    • 시스템 고도화 구축 및 고도화 시행: ’25. 4. ~ 11.
    • 인공지능 모델 학습 최적화 실시: ’25. 6. ~ 10.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 1,000 1,000
    제목없음

    불법 성산업 감시 AI 왓쳐봇 구축

    소관부서
    여성가족실 양성평등담당관
    추진배경
    • SNS・채팅앱 등 온라인 활용 아동·청소년 성매수‧성착취 피해 급증
      • 온라인 성매수 접근 46.2%(’14년) → 83.3%(’22년) (여가부, 2023)
    • 아동‧청소년 성착취 유인에 대한 선제 대응이 가능한 Watcher Bot을 개발하여 피해지원 대응력 강화 및 범죄 확산 방지 필요
    사업내용
    • 오픈채팅방, SNS 등에서 성매매를 실시간 감시하는 AI 기술 개발
      • 탐지 시 가해자에게 성매매 처벌 경고, 반복 유인계정 신고․고발 조치
    • 온라인 조건만남 피해 상황 발견 시 신고 안내 및 센터 연계 지원
      • 성매매 신고 안내, 상담사 조기 개입을 통한 성매매 피해 지원
      추진일정
      • AI 기반 온라인 성매매 감시 및 대응 기술 개발: ’25. 연중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 300 300
      제목없음

      디지털성범죄 예방 및 안심지원센터 운영

      소관부서
      여성가족실 양성평등담당관
      추진배경
      • 아동·청소년 대상 딥페이크 등 디지털 성범죄 증가, 예방대책 필요
        • ’24년 허위영상물 피의자 중 75.8%가 10대, 피해자 중에서도 10대가 62%/경찰청
      • 디지털 성범죄 피해 영상물 AI 검색 및 삭제지원 건수 급증
        • 서울 디지털성범죄 안심지원센터 삭제지원 2,509건(’22년) → 11,603건(’24년)
      사업내용
      • 아동·청소년 온라인그루밍 SOS 앱 개발로 디지털 성범죄 사전 예방
        • 채팅방에서 성적 유인 대화 감지 시, 당사자 및 보호자, 가해자에게 알림 제공
        • 아동, 청소년 온라인 그루밍 예방 및 디지털 성범죄 피해 방지 도모
      • 서울 디지털성범죄 안심지원센터 AI 기반 피해 영상물 삭제지원 자동화 구축
        • AI가 디지털 성범죄 피해 영상물 검색 및 삭제요청 자동화 추진
        • AI 활용 대량 피해 영상물 삭제지원 처리로 피해지원 효율성 제고
      추진일정
      • AI 기반 피해 영상물 삭제지원 자동화: ’25. 연중
      • 아동·청소년 온라인그루밍 기술 개발: ’25. 연중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 100 100
      제목없음

      개인정보 유출 및 오남용 모니터링 체계 강화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보안과
      추진배경
      • 불법적 접근, 담당자 부주의 등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노출 증가
      • 개인정보 유출사고 최소화를 위한 다양한 대응책 강화 필요
      사업내용
      • 개인정보보호시스템 운영(15종 63식)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유․노출 예방으로 개인정보 안전성 확보
          ▸ PC개인정보 유출통제 시스템, 개인정보 접속기록 모니터링 시스템, 개인정보 (비)정형 데이터 암호화 시스템 등 고도화 추진
      • 시 컨트롤타워로서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 강화
        •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개인정보위 주관) 및 관리실태 점검
        • 개인정보 가명처리 지원․컨설팅, 가명정봐 활용 활성화를 위한 교육․홍보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직원 및 시민 역량 강화
        • 개인정보보호 심의위원회(2회), 교육(9회), 개인정보 포럼․워크숍(각 1회)
        • 디지털안내사 개인정보보호 교육(1회), 찾아가는 개인정보 법령해석(1회)
      추진일정
      • 개인정보보호시스템 운영: ’25. 1. ~ 12.
      • 개인정보보호 심의위원회, 교육, 포럼․워크숍: ’25. 2. ~ 12.
      • 개인정보 가명정보 처리 및 컨설팅: ’25. 4. ~ 12.
      •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 및 관리실태 점검: ’25. 5. ~ 11.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057 912 2,420 1,508
      제목없음

      개인정보 가명처리 지원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보안과
      추진배경
      • 2025 데이터 활용에 대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데이터3법이 시행 (’20. 8. 5.)됨에 따라 가명정보 활용 기반이 마련됨
      • 전문 용역사의 지원을 통해 가명정보 활용에 필요한 절차 및 안전조치에 관한 사항 등을 교육·홍보하여 안전한 가명정보 활용 지원 필요
      사업내용
      • 가명정보 관련 교육 및 홍보활동 지원
        • 가명처리 절차 및 신청 방법, 내·외부결합 과정, 관리적·기술적 보호조치 등에 대한 설명회 및 홍보활동 추진
      • 서울시 가명정보 수요에 대한 대응 지원
        • 내·외부 가명정보 활용 요청에 대한 문의 대응 및 컨설팅 지원
      • 가명정보를 활용을 위한 전처리 및 관리적·기술적 컨설팅
        • 개인정보의 전처리, 가명처리 및 결합 프로세스에 따른 관리적(적정성 검토 등) 및 기술적(가명처리 수준 정의 등) 지원
      • 서울시 가명정보 조례·지침 등의 개정
        • 관련 법령 또는 가이드라인 개정 시, 변경된 내용을 바탕으로 서울시 조례 및 내부관리계획 수립, 실무안내서, 신청 서식 등의 제·개정 실시
      추진일정
      • 가명정보 활용 지원 및 컨설팅 용역 시행: ’25. 4. ~ 12.
      • 가명정보 관련 교육 및 홍보활동 지원: ’25. 5. ~ 11.
      • 서울시 가명정보 조례·지침·실무안내서 등 개정: ’25. 11.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00 100 100 0

      2024 시행사업

      제목없음

      개인정보 가명처리 지원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보안과
      추진배경
      • 데이터 활용에 대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데이터3법이 시행('20.8.5.)됨에 따라 가명정보 활용 기반이 마련됨
      • 전문 용역사의 지원을 통해 가명정보 활용에 필요한 절차 및 안전조치에 관한 사항 등을 교육·홍보하여 안전한 가명정보 활용 지원 필요
      사업내용
      • 가명정보 관련 교육 및 홍보활동 지원
        • 가명처리 절차 및 신청 방법, 내·외부결합 과정, 관리적·기술적 보호조치 등에 대한 설명회 및 홍보활동 추진
      • 서울시 가명정보 수요에 대한 대응 지원
        • 내·외부 가명정보 활용 요청에 대한 문의 대응 및 컨설팅 지원
      • 가명정보를 활용을 위한 전처리 및 관리적·기술적 컨설팅
        • 개인정보의 전처리, 가명처리 및 결합 프로세스에 따른 관리적(적정성 검토 등) 및 기술적(가명처리 수준 정의 등) 지원
      • 서울시 가명정보 조례·지침 등의 개정지원
        • 관련 법령 또는 가이드라인 개정 시, 변경된 내용을 바탕으로 서울시 조례 및 내부관리계획 수립, 실무안내서, 신청 서식 등의 제·개정 지원
      추진일정
      • 서울특별시 가명정보 활용 지원 및 컨설팅 용역 시행 : ’24. 3. ~ 12.
      • 가명정보 관련 교육 및 홍보활동 지원 : ’24. 8.
      • 서울시 가명정보 조례·지침·실무안내서 등 개정지원 : ’24. 11.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95 100 100 0
      제목없음

      개인정보 유출 및 오남용 모니터링 체계 강화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시스템과
      추진배경
      • 해킹 등 개인정보 오남용으로 인한 유·노출 취약성 증가
      • 개인정보 유출사고 최소화를 위한 다양한 대응 대책 강화 필요
      사업내용
      • 개인정보보호시스템 유지관리 용역(13종 59식)
        • 개인정보 보호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 상주(2인)
        • 시스템 정상 동작 여부 모니터링 및 수시·정기·특별점검을 통한 장애예방
      • 컨트롤타워로서 개인정보 보호와 활동 강화
        •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매년, 개인정보위 주관) 및 관리실태 이행점검
        • 개인정보 가명처리 지원 대상 확대 및 컨설팅 범위 확대
      • 개인정보보호 직원 및 시민 역량 강화
        • 개인정보보호 심의위원회(2회), 교육(5회), 개인정보 포럼 및 워크숍(각1회)
        • 디지털 약자(연1회) 및 찾아가는 개인정보보호 교육(자치구) 실시
      추진일정
      • 개인정보보호 심의위원회, 교육, 포럼 및 워크숍 : ’24. 2~12.
      •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 및 관리실태 이행점검: ’24. 5~12.
      • 개인정보 보호시스템 유지관리 용역 시행: ’24. 1~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174 1,157 1,059 △98
      제목없음

      서울 디지털성범죄 안심지원센터 온라인시스템 고도화

      소관부서
      여성가족정책실 양성평등담당관
      추진배경
      • AI 기반 삭제지원 시스템 개발(서울연구원 공동연구 추진) 및 시범운영 완료
        • AI 기반 삭제지원 시스템 개발 및 시범운영을 통한 피해촬영물 모니터링 확대
      • 24시간 유포 모니터링 전면 실시 및 피해촬영물 보안 강화를 위한 온라인 시스템(상담·삭제업무) 일원화 필요(업무시스템과 AI 삭제지원시스템)
      사업내용
      • 서울 디지털성범죄 안심지원센터 업무시스템 및 AI 기반 삭제지원시스템 통합
        • 온라인 업무시스템 내 AI 기반 삭제지원 시스템 통합
        • 온라인 업무시스템 이용자 편의 기능 개발(증거자료 수집, 보고서 발행 등)
      • 상용SW 구매, 기타(구글 API)
      • AI기반 영상분석 및 빅데이터 학습을 위한 HW구매(서버 4대 도입)
      추진일정
      • 발주 준비 및 계약: '24. 2. ~ 4.
      • 시스템 통합 및 고도화 적용 운영: '24. 5. ~ 24.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232 310 352 42

      2023 시행사업

      • 개인정보 유출 및 오남용 모니터링 체계 강화

        정보시스템담당관
        • ㅇ 해킹 등 개인정보 오남용으로 인한 유·노출 취약성 증가
          ㅇ 인공지능, 신기술을 활용한 개인정보 유·노출 상시 대응체계 강화 필요
      • 소방재난본부 정보보호 관리체계 강화 종합컨설팅

        소방재난본부
        • ㅇ 보안장비 운영 관리에 대한 취약점 분석 및 관련 규정 및 개선 과제 제시 및 정보보호의 안전성 확보
      • 서울 디지털성범죄 안심지원센터 온라인시스템 고도화

        양성평등담당관
        관련사이트
        • ㅇ 서울특별시 디지털성범죄 안심지원센터 개소로 서울시 디지털 성범죄 선제적 대응을 위한 경찰청 삭제지원 연계 및 심리, 법률, 의료 상담 연계지원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필요성 제기
          ㅇ 피해자의 개인정보 등 장애 발생 사전 예방 및 재난대비 데이터 백업 등 주요정보시스템 및 보안성 강화 필요
      • 지능형 악성코드(APT) 대응 시스템 교체

        정보통신보안담당관
        • ㅇ 지속적인 지능형 악성코드 공격으로부터 우리시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지능형 위협 대응시스템 구축
          ㅇ 내용연수(6년) 경과된 시스템 교체로 신종 보안 위협의 선제적 대응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