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정책 개요

스마트 정책       스마트정책 개요
제목없음

빅데이터 도시Big Data City

주요내용

데이터 중심의 스마트도시 조성 위해 다양한 데이터 수집 및 빅데이터 저장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시민·기업 등에 개방하여 데이터 중심 생태계 조성
  •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기반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 제공
    • 메타버스 환경에서 입체적인 데이터 분석결과 서비스 제공 및 자연어 기반의 검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22~)
    • 인공지능 자연어 처리기술 활용한 데이터 분석 등 데이터 입체적 분석 및 시각화
  • 지속가능한 시민체감서비스 제공을 위한 IoT 도시데이터 활용 확대
    • 도시데이터 센서(S-DoT) 활용 및 구축 확대, 기능 고도화(~‘24)
    • 기업 신제품 실증·상용화 지원을 위한 도시 인프라 조성(’24~)
  • 비대면 통계조사 전환을 위한 서울통계 통합 플랫폼 구축
    • 사회·경제적 환경변화에 따라 비대면 통계조사관리를 위한 통계통합플랫폼 구축 통해 통계 기획·생산 프로세스 확립(’21~‘22)
      ※25년까지 대민서비스 확대
    • 통계자료 생산과정 표준화를 통한 데이터 관리 체계 구축
  • 데이터 개방을 통한 창업 및 인재육성
    •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로 데이터 품질 강화 및 서울시 정책기초 자료로 활용
    • 빅데이터 접근성 제고, 유사 데이터센터와의 협업체계 강화를 통한 데이터 이용·관리 활성화 추진 및 창업·취업 연계 방안 마련
      데이터 개방 건수(누적) : ‘21년 6,800건에서 ’25년 7,200건 까지 확대

투자계획

투자계획
정책과정명 2021 2022 2023 2024 2025
개방형 빅데이터 도시 조성 46,881 5,397 7,778 17,288 8,544 7,874
3-1.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기반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 제공 23,670 1,034 3,913 12,723 3,000 3,000
3-2. IoT 도시데이터 활용 확대 9,268 868 1,850 1,850 2,200 2,500
3-3. 서울통계 통합 플랫폼 구축 5,650 2,000 450 1,000 1,600 600
3-4. 데이터 개방을 통한 창업 및 인재육성 8,293 1,495 1,565 1,715 1,744 1,774
(단위 : 백만원)

2025 시행사업

제목없음

서울관광 API 개발자 센터 구축

소관부서
서울관광재단
추진배경
  • 2025 서울관광 온라인 서비스 운영 세부 사업계획 수립(2025. 2. 27.)
    • 서울 관광객 증가 대비 서울 공식 관광 홈페이지(Visit Seoul)의 서울관광 정보 확산을 위한 안정적 운영 및 기능개선 필요
  • 2025년도 서울관광 온라인 서비스 운영 및 유지보수 계약체결(2025. 2. 28.)
    • 공공서비스인 Visit Seoul의 관광정보 콘텐츠 및 서비스의 대시민·유관기관·업계 등 제공 범위 확장을 통한 내·외부 활용도 제고 필요
사업내용
  • 표준콘텐츠 개방을 위한 API 개발자센터 신규 구축
    • 오픈 API 사용자 등록을 통한 API 키 발급 관리
      ▸ 오픈 API 사용자 신청·승인, 사용자 가이드 제공 등
    • 공공데이터 표준콘텐츠 활용을 위한 오픈 API 구축
      ▸ API 키 기반 표준콘텐츠 리스트 조회 및 다운로드 서비스 구현
추진일정
  • 서울관광 API 개발자센터 구축 : ’25. 7.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 - 234 234
제목없음

빅데이터캠퍼스 운영 및 활성화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데이터전략과
추진배경
  • 빅데이터캠퍼스의 데이터 분석 인프라 지원으로 도시 및 사회문제 해결
  • 빅데이터캠퍼스 활성화를 통한 데이터 격차 해소
사업내용
  • 빅데이터 캠퍼스 인프라, 포털서비스 운영 및 유지관리
  • 빅데이터캠퍼스 데이터 확충 및 품질 개선 등 경쟁력 강화
  • 빅데이터캠퍼스 활용 빅데이터 분석 전문과정 운영
    • 빅데이터 분석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빅데이터·AI 이해 과정 등 4개 과정 운영
  • 공공·민간에서 4차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캠퍼스 공모전 개최
    • 데이터 기반 사회혁신 사례와 경험 공유, 생태계 조성을 위해 공모전 개최
  • 빅데이터캠퍼스 이용 활성화를 위한 분원확대 및 뉴스레터 지속 제공
추진일정
  • 빅데이터캠퍼스 뉴스레터 지속 제공(매월): ’25. 1. ~ 12.
  • 빅데이터 분석 전문과정 운영: ’25. 2. ~ 12.
  • 빅데이터 공모전 개최: ’25. 6. ~ 11.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056 497 553 56
제목없음

열린데이터광장 운영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데이터전략과
추진배경
  • 시, 산하기관, 자치구에서 축적된 공공데이터를 누구나 쉽게 검색할 수 있는 개방 플랫폼을 운영하여 공공데이터의 활용성 향상 및 이용 평등권 제공
사업내용
  • (개방)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 100개(누적 8,200개), 개방 교육 실시(6월), 공공데이터포털과 열린데이터광장 데이터셋 일치화(상반기)
  • (품질) 데이터 품질 관리 및 개선(행정안전부 품질진단 중점대상 45개 시스템) 열린데이터광장 공공데이터 현행화(상/하반기), 표준화(400개)
  • (활용) 공공데이터 활용 경진대회‧기업간담회 개최, 뉴스레터 제작(매월), 데이터 활용 개발 방법 강좌 동영상·API 개발 가이드 제공(하반기)
  • (운영) 열린데이터광장의 안정적 운영 및 유지관리
추진일정
  • 열린데이터광장 운영 및 유지관리: ’25. 1. ~ 12.
  •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활성화 시행계획 수립: ’25. 2.
  • 열린데이터광장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 ’25. 3. ~ 6.
  • 공공데이터 수요 및 이용자 만족도 조사 등 이용 활성화 추진: ’25. 11.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629 716 831 115
제목없음

서울통계통합플랫폼 운영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데이터전략과
추진배경
  •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과 신속한 장애 대응을 위해 시스템을 개선
  • 법규 개정 및 통계 조사 환경 변화에 맞춰 운영을 지원
사업내용
  • 통계조사의 유연성 확보
    • 다양한 통계조사 방식(태블릿, 인터넷, 모바일 등) 지원
    • 통계조사 자료 수집부터 통계조사 작성까지의 전 과정 표준화
  • 열린데이터광장을 통해 통계데이터 대시민 제공
  • 원활한 통계조사 지원
    • 시민패널 조사, 서울서베이(가구·시민·외국인·지역사회 조사) 운영
  • 이용자 편의성 강화
    • 통계정보 시각화 콘텐츠(서울의 100대 통계) 제공
    • 시민패털 조사 알림톡 관리기능 개발 (서울시 문자전송시스템 제공 API 활용)
    • 통계표기반 내부시스템 연계 기능 개발로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과의 연계 개선
    • 승인통계자료 통합 관리 및 공표, 통계청 KOSIS 자료전송 지원
추진일정
  • 서울통계통합플랫폼 운영 및 유지관리: ’25. 1.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49 294 344 50
제목없음

IoT 도시데이터 활용 확대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통신과
추진배경
  • 스마트시티의 핵심 가치인 도시데이터 수집 및 활용 확산을 통해 다양한 도시문제 분석, 해결 토대 마련
  •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해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하는 공공 서비스 수집 데이터 확대 필요
사업내용
  • 도시데이터 센서(S-DoT) 데이터 실시간 시민 제공으로 수집 데이터의 공개․이용 활성화
    • 열린데이터광장을 통한 실시간 Open API 시민 제공을 위한 IoT 도시 데이터시스템 고도화
  • 신규 센서 추가 설치로 도시환경 분석에 활용 가능한 데이터 확보
    • 입지분석 등에 활용 가능한 유동인구센서 30대 설치
  • IoT 도시데이터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추진일정
  • IoT 도시데이터시스템 고도화: ’25. 3. ~ 10.
  • 신규센서(유동인구 센서) 설치: ’25. 5. ~ 10.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204 207 512 305
제목없음

디지털 플랫폼 기반 의사결정 지원(스마트 서울뷰) 운영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데이터전략과
추진배경
  • (’23. 10.) 전면 개편 이후, 사용자(관리자·시민) 서비스 체계 구성
    • (관리자) 실·국 업무지원서비스, 디지털서울(인구현황) 안정화 및 운영지원
    • (시민) 이용자 확대 및 스마트서울 소식 구독 서비스 활용성 증대
  • 유용한 콘텐츠 지속 제공을 위하여 수요 맞춤형 콘텐츠로 제작 및 제공
    • 타 부서 협력을 통한 시민 공개 콘텐츠 개방 확대 등(플랫폼 역할 수행)
사업내용
  • 사용자(관리자·시민) 중심의 콘텐츠 발굴, 모니터링을 통한 서비스 개선
    • 실·국 맞춤형 지표, 추진 현황, 여론 등 실·국 업무지원서비스 안정적 운영
    • 규제철폐, 약자동행 등 주요 정책 중심으로 현재 관심 콘텐츠 개발 추진
      ‣ 스마트서울뷰 플랫폼 기반으로 콘텐츠 생산성 향상, 콘텐츠 융합 효과 등
  • 디지털 마케팅(구독, SEO) 기술을 이용한 지속적인 외부 노출(홍보강화)
    • 구독 콘텐츠 확대: 시민 관심 사항을 분석하여 서비스 소개 및 정책/행사 콘텐츠 제공을 통한 시의성 확보(매월 4회, 8건 이상)
    • 검색엔진최적화: 네이버, 구글, 다음, 챗GPT 등 검색 노출 향상
추진일정
  • 스마트서울뷰 운영 및 유지관리: ’25. 1.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984 962 616 △346
제목없음

빅데이터 분석서비스 개발 및 운영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데이터전략과
추진배경
  • 복잡한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 결정·집행과정에서 빅데이터 분석 필요성 증대
  • 민간과의 협력체계 마련 등 데이터 활용성 확대를 통한 과학행정 구현
사업내용
  • 민관 융합데이터 개발·활용 및 가명결합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
  • 시·자치구 공동활용 표준분석모델 개발 및 데이터 활용역량 강화
  • 시정핵심사업 및 실국 수요과제 데이터 분석지원을 통한 데이터기반 행정 추진
  • 서울 데이터 펠로우십 운영으로 시민참여형 분석체계 구축
  • ’25년 빅데이터 활용 우수사례 평가 및 포상, 공유 및 확산
  • ’25년 서울 빅데이터 국제포럼 개최(해외 공공 및 연구기관 참여)
추진일정
  • 민관 융합데이터 및 가명결합 데이터 개발·활용: ’25. 1. ~ 12.
  • 시·자치구 공동활용 표준분석모델 개발: ’25. 4. ~ 11.
  • 현업부서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데이터 분석: ’25. 1. ~ 12.
  • 서울 데이터 펠로우십 확대 및 실국 수요부서와의 협업 강화: ’25. 3. ~ 11.
  • ’25년 빅데이터 활용 우수사례 평가 및 경진대회 개최: ’25. 10.
  • 2025 서울 빅데이터 국제포럼 개최: ’25. 10.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2,081 1,912 1,715 △197

2024 시행사업

제목없음

빅데이터 분석서비스 개발 및 운영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데이터전략과
추진배경
  • 복잡한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 결정·집행과정에서 빅데이터 분석 필요성 증대
  • 민간과의 협력체계 마련 등 데이터 활용성 확대를 통한 과학행정 구현
사업내용
  • 민관 융합데이터 개발·활용 및 가명결합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
  • 시·자치구 공동활용 표준분석모델 개발 및 데이터 활용역량 강화
  • 실국본부 데이터 자체분석 지원(데이터처리·컨설팅 등) 등 데이터기반 행정
  • 서울 데이터 펠로우십 운영으로 시민참여형 분석체계 구축
  • '23~'24년 빅데이터 활용 우수사례 평가 및 포상, 공유 및 확산
  • '24년 서울 빅데이터 국제포럼 개최(해외 공공 및 연구기관 참여)
추진일정
  • 민관 융합데이터 및 가명결합 데이터 개발·활용 : '24. 1.~12.
  • 시·자치구 공동활용 표준분석모델 개발 : '24. 1.~12.
  • 현업부서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데이터분석 : '24. 1.~12.
  • 서울 데이터 펠로우십 확대 및 실국 수요부서와의 협업 강화 : '24. 3.~12.
  • '24년 빅데이터 활용 우수사례 평가 및 경진대회 개최 : '24. 10.
  • 2024 서울 빅데이터 국제포럼 개최 : '24. 10.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882 2,081 2,209 128
제목없음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데이터전략과
추진배경
  • 공공 및 민간 데이터 통합 저장·융합 활용을 통한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 공공데이터 및 융합데이터의 개방으로 도시문제 해결형 데이터 활용 생태계 지원
  • 4차 산업 혁명시대 급변하는 신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 기술 발전에 대응
사업내용
  • 데이터 컨설팅 : 관리지표 선정 및 데이터셋 선정(수집 포함)
    • 데이터관리자가 가치 있는 데이터를 발·굴관리할 수 있고, 데이터사용자는 용도에 맞는 데이터를 쉽게 탐색하고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관리기준의 원칙 수립
  • 대시민서비스 : (서비스) 생성형AI, 가상융합관, 포털웹, 주제분석 시각화 (인프라) 공공 클라우드 구축
  • 내부직원서비스 : 인프라 및 AI분석플랫폼 고도화, 직원교육
추진일정
  • 3단계 구축사업계획 수립 및 정보화사업 추진 절차 수행: ’23. 8.~ ‘23.10.
  • 3단계 구축사업 추진: ’23.11.~ ‘24. 9.
  • 서울시 빅데이터 통합저장소 운영 사업: '24. 1.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2,346 3,701 2,148 △1,553
제목없음

IoT 도시데이터 활용 확대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디지털정책과
추진배경
  • 스마트시티의 핵심 가치인 도시데이터 수집 및 활용 확산을 통해 다양한 도시문제 분석, 해결 토대 마련
  •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을 기반으로 하는 공공서비스의 혁신 필요
사업내용
  • IoT 도시데이터 시스템 수집 데이터의 공개·이용 활성화
  • 도시데이터 활용을 제안하는 기관 간 협력하여 공공서비스 발굴
  • 도시데이터 개방 및 수집ㆍ유통 확대 및 시스템 유지관리
추진일정
  • 도시데이터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 '24.1. ~ 12.
  • 데이터 분석 및 서비스 개발에 활용토록 데이터 제공 : '24.1. ~ 12.
    • 열린데이터광장, 빅데이터캠퍼스 및 기상청 등 11개 공공기관
  • 데이터 제공 및 이용 저변 확대 : '24.3. ~ 12.
    • IoT 도시데이터 시스템 연계 서비스 현황조사 및 수요조사 추진(’24.3월~)
    • 도시데이터 활용 우수사례 발굴 및 홍보를 통한 도시데이터 이용 확대(’24.4월~)
    • S-DoT 데이터와 교통·복지·안전 등 타 데이터와의 융합 분석(’24.10월~)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98 201 207 6
제목없음

빅데이터캠퍼스 운영 및 활성화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데이터전략과
추진배경
  • 빅데이터캠퍼스의 데이터 분석 인프라 지원으로 도시 및 사회문제 해결
  • 빅데이터캠퍼스 활성화를 통한 데이터 격차 해소
사업내용
  • 빅데이터캠퍼스 분석환경 개선 및 분원 확대로 사용자 지원 강화
    • 분석 S/W 업데이트 및 익숙한 분석프로그램 확충
    • 현재 8개 분원에서 최대한 추가 확대 추진
  • 빅데이터캠퍼스 데이터 확충 및 품질 개선 등 경쟁력 강화
    • 데이터 품질을 높이기 위해 현행화 주기를 개선하고 신규 데이터 추가 등록
  • 빅데이터캠퍼스 공모전 개최
  • 빅데이터캠퍼스 이용 활성화를 위한 뉴스레터 지속 제공
추진일정
  • 빅데이터캠퍼스 뉴스레터 지속 제공: 매월 제공
  • 빅데이터 공모전 개최: '24. 5. ~ 11.
  • 빅데이터캠퍼스 분원 확대: '24. 5.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940 1,056 500 △556
제목없음

열린데이터광장 운영 및 유지관리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데이터전략과

추진목적
  • 시, 산하기관, 자치구에서 축적된 공공데이터를 누구나 쉽게 검색할 수 있는 개방 플랫폼을 운영하여 공공데이터의 활용성 향상 및 이용 평등권 제공
사업내용
  • (개방)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 : 300개(누적 8,100개), 개방 교육 실시(6월), 공공데이터포털과 열린데이터광장 데이터셋 일치화(상반기)
  • (품질) 데이터 품질 관리 및 개선(행정안전부 품질진단 중점대상 40개 시스템) 열린데이터광장 공공데이터 현행화(상/하반기), 열린데이터광장 표준화(400개)
  • (활용) 공공데이터 활용 경진대회‧기업간담회 개최, 뉴스레터 제작(매월), 열린데이터광장 백서‧강좌 동영상‧API 개발 가이드 제공(하반기)(운영) 열린데이터광장의 안정적 운영 및 유지관리
추진일정
  • 열린데이터광장 운영 및 유지관리 : '24. 1. ~ 12.
  •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활성화 시행계획 수립 : '24. 2.
  • 열린데이터광장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 : '24. 3. ~ 6.
  • 공공데이터 수요 및 이용자 만족도 조사 등 이용 활성화 추진 : '24. 11.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625 629 742 113

2023 시행사업

  • 빅데이터 분석서비스 개발 및 운영

    빅데이터담당관
    • ㅇ 복잡한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 결정·집행과정에서 빅데이터 분석 필요성 증대
      ㅇ 민간과의 협력체계 마련 등 데이터 활용성 확대를 통한 과학행정 구현
  •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 및 운영

    빅데이터담당관
    • ㅇ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를 위해 공공 및 민간의 다양한 데이터 융합 필요
      ㅇ 행정환경의 복잡·다양화에 따라 과학적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의사결정을 통한 정책서비스 품질 제고 요구 증가
      ㅇ 메타버스 기반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 환경 제공으로 데이터 활용도 증대
  • IoT 도시데이터 활용 확대

    디지털정책담당관
    관련사이트
    • ㅇ 스마트시티의 핵심가치인 도시데이터 수집 및 활용 확산을 통해 다양한 도시문제 분석, 해결 토대 마련
      ㅇ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을 기반으로 하는 공공서비스의 혁신 필요
  • 빅데이터캠퍼스 운영 및 활성화

    빅데이터담당관
    관련사이트
    • ㅇ 빅데이터캠퍼스의 데이터 분석 인프라 지원으로 도시 및 사회문제 해결
      ㅇ 빅데이터캠퍼스 활성화를 통한 데이터 격차 해소
  • 열린데이터광장 운영 및 유지관리

    빅데이터담당관
    관련사이트
    • ㅇ 시, 산하기관, 자치구에서 축적된 공공데이터를 누구나 쉽게 검색할 수 있는 개방 플랫폼을 운영하여 공공데이터의 활용성 향상 및 이용 평등권 제공
  • 건설업 빅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건설혁신과
    • ㅇ 자격없는 건설업자의 입찰 참여 방지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의심업체를 추출하여 선제적·효율적인 등록기준 적격여부 조사기반 마련
      ㅇ 조사·단속 대상 건설업체의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관리를 통해 DB화하고 페이퍼컴퍼니, 불법하도급 적발업체는 블랙리스트로 관리 필요
  • 소비자 물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 "ㅇ 기존 BI 솔루션 노후화로 유통정보 분석 및 시스템 운영의 어려움 발생
      ㅇ 유통정보를 비롯한 공사 보유 데이터의 새로운 가치 창출 필요성 대두"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