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정책 개요

스마트 정책       스마트정책 개요
제목없음

비대면 서비스Contactless Service

주요내용

코로나19로 인해 급변하는 사회환경에 대응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를 위한 비대면 행정서비스 발굴·개발
  • 서울의 신대륙 ‘메타버스 서울’ 구축
    • 시정 전 분야 활용 위한 서울시 자체 플랫폼 ‘메타버스 서울’ 플랫폼 구축(’22)
    • 경제, 교육, 문화관광, 소통, 도시, 행정 등 시정 전 분야 활용 가능한 콘텐츠 제작을 통한 업무 효율화 향상 및 미래형 스마트워크 기반 마련(’22~‘26)
  • 블록체인 기반 개인 맞춤형 비대면 서비스 확대
    • 시민이 안전하게 본인을 증명할 수 있는 서울지갑을 활용한 분산신원증명 구축(’21~)
    • 市-중앙정부-민간기업 전자지갑 연계 운영 통한 원클릭 간편 행정서비스 이용 가능
  • 인공지능 상담사 챗봇 고도화
    • (외부) ‘서울톡’(챗봇) 플랫폼 활용한 신청·예약 등 대시민 서비스 확산(’21~)
    • (내부) 인사/복무, 계약 등 단순·반복 문의사항에 대한 자동 답변 등(’22~)
      챗봇 ‘서울톡’ 행정정보 수 : ‘21년 420건 → ’25년 700건까지 확대
  • 신기술 융합, 비대면·고효율의 스마트오피스(VDI) 구축
    • VDI 도입 타당성·경제적 효과 분석 및 로드맵 설정을 위한 ISP 수립
    • 기존 데스크탑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 PC업무환경으로 전환 및 인공지능, 메타버스 등 최신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 오피스 구축
      ‘25년까지 서울시 VDI 100% 전환 추진
  • 비대면 서비스 기반 기술개발 및 성장지원
    • 디지털 기반 비대면 서비스 발굴 및 확산 거점(서울스마트시티센터) 운영
    • 서울형 디지털·비대면 정책 모델 및 혁신 서비스 해외 진출 지원 등
      비대면 기술·서비스 지원 기업 확대 : 40개사(‘21년) → 80개사(’25년)

투자계획

투자계획
정책과정명 2021 2022 2023 2024 2025
비대면 서비스 확대 59,396 2,774 6,322 14,470 17,450 18,380
4-1. 서울의 신대륙, 메타버스 서울 구축 29,500 - 3,900 6,870 9,450 9,280
4-2. 블록체인 기반 개인 맞춤형 비대면 서비스 확대 1,775 175 200 600 300 500
4-3. 인공지능 상담사 챗봇 고도화 2,597 270 827 500 500 500
4-4. 스마트오피스 (VDI) 구축 15,300 - 300 5,000 5,000 5,000
4-5. 비대면 서비스 기반 기술개발 및 성장지원 10,224 2,329 1,095 1,500 2,200 3,100
(단위 : 백만원)

2025 시행사업

제목없음

스마트 업무환경 조성을 위한 VDI 시스템 운영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시스템과
추진배경
  • 재택‧파견‧해외 근무 등 다양한 유형의 근무 방식에 대응하고, 업무의 연속성과 효율성을 유지하는 근무 환경 마련
  • 네트워크 보안, 단말의 중앙관리 등을 통해 강력한 보안 기반의 안전하고 신속한 업무 협업 환경 제공
사업내용
  • 언제 어디서나 업무관리시스템 등 주요 내부시스템 이용환경 제공
    • 시 SVPN 이용 직원 대상 가상 PC 제공(490VM 기준)을 위한 인프라 운영
      ▸ SVPN(Seoul Virtual Private Network): 전자결재나 이메일 등의 업무를 사무실에서와 마찬가지로 원격지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
      ▸ 동시 접속자 490명까지 가능, 사용자(계정) 수는 무제한
    • 행정포털 조직 및 사용자 DB 연계를 통한 체계적 사용자 관리
      ▸ 제공 사이트(연계 등): e호조, 업무관리시스템, 응답소 등 약 190종
  • 이용자 만족도 조사 및 기능개선 추진
    • 시스템 이용 불편사항 및 개선사항 도출, 즉시 적용 또는 적용 예산 편성
    추진일정
    • VDI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25. 3. ~ 12.
    • VDI 시스템 이용자 만족도 조사: ’25. 7. ~ 8.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705 124 185 61
    제목없음

    서울시 챗봇 시스템 운영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시스템과
    추진배경
    • 시정에 대한 각종 문의사항에 자동 답변해주는 대시민 챗봇 ‘서울톡’ 운영
    • 직원들의 공통적인 문의사항에 대해 즉시 답변해주는 직원 전용 챗봇 운영
    사업내용
    • 대시민 챗봇 ‘서울톡’ 시스템 서비스 개선 및 운영 유지관리
      • 채팅상담 서비스(’24. 12. 26. 오픈) 안정화
      • 온라인 학습 서비스 개선
      • 신규 행정정보 추가: 긴급ㆍ시책ㆍ부서요청 반영
      • 법률ㆍ지침ㆍ정책 변경으로 인한 행정정보 현행화, AI 학습 실시 등
    • 직원용 업무 챗봇(서우리 주무관)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 직원 신청서비스 이용활성화, 직원 참여 독려를 위한 이벤트 실시
      • 문의 빈도가 높은 신규업무 발굴, 현업부서의 추가 요청사항 반영
      • 법률ㆍ지침ㆍ정책 변경으로 인한 답변자료 현행화, AI 학습 실시
    추진일정
    • 대시민 챗봇 ‘서울톡’ 운영 및 유지관리: ’25. 1. ~ 12.
    • 직원용 업무 챗봇 운영 및 유지관리: ’25. 1.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435 669 285 △333
    제목없음

    소상공인 마이데이터 플랫폼 고도화

    소관부서
    서울신용보증재단
    추진배경
    • 소상공인 맞춤형 마이데이터 원스톱 서비스 체계 구축
    • 안전한 데이터 이용을 위한 마이데이터 통합 관리 체계 구축
    사업내용
    • 마이데이터 기반 비대면 신청 및 맞춤형 지원 서비스
      • (비대면 신청) 모바일 앱 등을 통해 보증 서류 간소화 서비스 제공
      • (맞춤형 지원) 소상공인이 한 곳에서 모든 지원사업을 확인하고,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 리포트 제공
    • 보안저장소 구축 및 데이터 통합 관리 체계 구축

      <마이데이터 통합 관리 체계 구축(안)>

    추진일정
    • 사업 계획 및 준비: ’25. 2. ~ 4.
    • 마이데이터 고도화 용역 시행: ’25. 5. ~ 11.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413 - 710 710
    제목없음

    비대면 디지털 행정서비스 통합 및 기능 개선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디지털정책과
    추진배경
    • 서울지갑/서울시민카드 서비스 통합을 통한 일원화된 서비스 제공
    • 서울지갑앱 연계 서비스 확대를 통한 비대면 디지털 서비스 활성화
    • 서류없는 디지털 행정을 위한 비대면 자격확인 확대
    • 상시 모니터링 및 헬프데스크 운영 등 시민 이용 편의성 향상
    사업내용
    • 서울지갑/시민카드 앱 통합 및 기능개선
      • 서울지갑 및 시민카드 모바일 앱 통합 및 UI/UX 개편
      • 서울패스 간편인증 및 서울지갑 회원가입 절차 축소(10단계 ⇒ 5단계)
      • 회원체계 통합 구축 및 정비
    • 사업내용 표: 구분,기존(AS-IS), 개선(TO-BE)로 구성
      구 분 기존(AS-IS) 개선(TO-BE)

      앱(App)

      서울지갑 ↔ 서울시민카드
      (개별 앱 설치 및 서비스 제공)

      ALL IN ONE 서비스 제공
      (단일화된 모바일 행정서비스)

      메뉴

        ▸서울지갑 메뉴(기능) 수: 25개
        ▸서울시민카드 메뉴(기능) 수: 14개
        ▸서울지갑 메뉴(기능) 수: 25개
        ▸불필요한 메뉴 및 중복 기능 제거
          통합전 대비 메뉴 35% 감소

      인프라

      인프라(Web, Was, DB 서버)는 그대로 활용(변동없음)

      회원정보

      서울시민카드 회원DB → 서울지갑 회원DB로 이관 및 데이터 체계 통합

    • 블록체인 플랫폼 유지관리
    추진일정
    • 모바일 앱 통합 및 UI/UX 개편: ’25. 2. ~ 9.
    • 서울패스 간편인증 구현 : ’25. 5. ~ 7.
    • 회원체계 통합 구축 및 정비: ’25. 6.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3 결산 2024 결산(A) 2025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524 493 884 391

    2024 시행사업

    제목없음

    메타버스 서울 추진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디지털정책과
    추진배경
    • 비대면 확대로 가상융합기술이 사회 전반에 新부가가치 창출 전망
    • 디지털 기반 新경험 욕구와 가상융합기술의 결합으로 메타버스 급부상
    • 비대면 디지털 전환 행정환경에 대응하고 신개념 공공서비스 제공 필요
    사업내용
    • ‘메타버스 서울’ 분야별 서비스 운영 및 홍보·활성화 추진(연중)
      • (대상) 메타버스 서울 플랫폼, 앱(안드로이드, iOS), PC버전, 시민웹, 관리웹
      • (운영) 플랫폼 및 분야(안전, 문화, 경제, 교육, 세무, 행정, 소통)별 서비스‧회의실(XR,VR 포함) 등 운영 및 서비스 개선
      • (콘텐츠 보강) 체육‧관광‧문화 콘텐츠 보강 및 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 발굴
      • (홍보 및 활성화) 맞춤형 교육 및 홍보, 지속적인 시민 참여 콘텐츠 운영(월별)
    • 민간 클라우드(KT G-Cloud)를 활용한 안정적 인프라 운영
    추진일정
    • ‘메타버스 서울’ 서비스 운영 및 홍보·활성화 추진: 상시
    • ‘메타버스 서울’ 2단계 구축 마무리 및 순차 오픈 : ~ ’24.3.
    • ‘메타버스 서울’ 운영·유지관리 사업 추진 :’24.4.~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2,122 2,839 724 △2,115
    ※ ’23년 결산(A) : 전년도 이월액(285백만원) 포함
    제목없음

    비대면 디지털 행정서비스 운영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디지털정책과
    추진배경
    • 블록체인 기반 비대면 디지털 행정서비스 제공으로 신뢰성, 보안성 제고
    • 비대면 디지털 행정서비스 활성화로 행정효율성, 시민 이용 편의성 증대
    사업내용
    • 블록체인 기반 비대면 디지털 행정서비스 활용 및 확대
      • `서울지갑'을 통한 전자증명서 발급 종수 확대 및 개발
        • 전자증명서, 모바일 증서, 모바일카드(다둥이 행복카드), 자격확인, 이사온 등
      • 서울패스(市 자체 인증체계) 연계 시스템 확대
    • 효율성·편의성 향상을 위한 비대면 자격확인 서비스 확대 운영
      • 시민 자격서류 제출 간소화를 위한 서비스 발굴, 통합 관리시스템과 연계 지원
    • 민원 신청시 시민 편익 증진을 위한 모바일 전자증명서 대상 사업 확대
      • 시민이 구비서류를 모바일 전자증명서로 제출할 수 있는 대상 사업 확대
    • 시민 참여, 숙의 예산 사업 선정 모바일 투표(엠보팅) 진행
      •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민참여 직접 민주주의 구현을 위하여 블록체인 기반 시민 참여 투표 실시
    추진일정
    • 비대면 디지털 행정서비스 운영 및 활성화 : '24. 1. ~ '24. 12.
    • 서울지갑 및 전자근로계약 UI/UX 디자인 개선 : '24. 2. ~ '24. 4.
    • 비대면 디지털 행정서비스 발전방향 컨설팅 : '24. 2. ~ '24. 6.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718 524 493 △31
    제목없음

    서울시 챗봇 시스템 유지관리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시스템과
    추진배경
    • 카카오톡 기반, 시정에 대한 각종 문의에 챗봇 ‘서울톡’ 운영
    • 직원들의 공통적인 문의사항에 대해 즉시 답변해주는 직원 전용 챗봇 운영
    사업내용
    • 대시민 챗봇 ‘서울톡’ 시스템 서비스 개선 및 운영 유지관리
      • 이용현황 분석 기반 120상담정보 정비
      • 공공서비스 예약 및 온라인 학습 서비스 개선
      • 시민 제안ㆍ건의(민원, 챗봇 의견남기기) 등 시민 요청사항 반영
      • 서울톡 서버 이중화 구성(신규서버1식 추가)으로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 직원용 업무 챗봇(서우리 주무관)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 문의 빈도가 높은 신규업무 발굴, 직원 신청서비스 발굴 및 확대
      • 업무내용 현행화 등 챗봇 콘텐츠 운영, AI 학습을 통한 답변율 향상
      • AI학습서버 추가 설치, ‘서우리’ 디자인(3D모델링) 개선ㆍ경량화
    추진일정
    • 대시민 챗봇 ‘서울톡’ 운영 및 유지관리 : ’24. 1. ~ 12.
    • 직원용 업무 챗봇 운영 및 유지관리 : ’24. 1.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95 435 677 242
    제목없음

    스마트 업무환경 조성을 위한 VDI시스템 운영

    소관부서
    디지털도시국 정보시스템과
    추진배경
    • 재택, 파견, 해외근무 등 다양한 유형의 근무방식 대응, 업무의 연속성과 효율성을 유지하는 근무환경 마련
    • 네트워크 보안, 단말의 중앙관리 등을 통해 강력한 보안기반의 안전하고 신속한 업무 협업환경 제공
    사업내용
    • 언제 어디서나 업무관리시스템 등 190개 내부시스템 이용환경 운영
      • 시 SVPN((Seoul Virtual Private Network) : 전자결재나 이메일 등의 업무를 사무실에서와 마찬가지로 원격지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 직원 대상 가상 PC제공(1,000VM 기준)을 위한 인프라 운영
        ※ 동시 접속자 1천 명까지 가능, 사용자(계정) 수는 무제한
      • 행정포털 조직 및 사용자DB 연계를 통한 사용자 관리
        ※ 제공 사이트(연계 등) : e호조, 업무관리, 응답소 등 약 190종
    • ’24년 VDI 운영 · 이용현황 분석 후 사무환경의 VDI 전환 타당성 검토
      • VDI 운영지원센터(콜센터 1명)를 운영하여 이용자 편의성 제고 및 이용 활성화
      • VDI 이용현황 분석 및 수요조사를 통해 사무환경의 VDI 전환 검토
        ※ ’23년 VDI 이용 만족도 조사(’23.4.17.~4.25. 만족도 85.5점)
    추진일정
    • VDI 시스템 로그인 절차 간소화 및 기능개선 : ’24. 1. ~ 3.
    • VDI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 ’24. 3. ~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338M 705M 175M △530M
    제목없음

    AI 상담센터 구축·운영

    소관부서
    120다산콜센터
    추진배경
    • 인공지능 기반 ‘다산콜 2.0’ ISP 수립('22년) 후 단계별 구축추진('23~'25)
    • 인공지능 자동 상담 채널 확대를 통한 시민 중심의 행정 서비스 제공
    • 다양하고 다변하는 정책 및 시·구정업무에 대한 신속·정확한 상담가이드 필요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책환류 시스템 구축 필요
    사업내용
    • 「상담도우미」시스템 구축으로 상담 편의성·효율성 및 상담품질 강화
      • 전화 상담을 상담사에게 실시간 채팅 형식으로 제공하여 상담 가이드 자동 추천·상담 요약 자동생성 등 신속·정확한 상담 제공으로 업무 효율화 향상
    • 「실시간채팅상담」구축으로 청각장애인 등 행정민원 이용 편의성 강화
      • 전화를 통한 음성상담이 불편한 사회적 약자의 행정민원 접근성 확대, 다양한 채널(디지털 보이는 ARS, 120 홈페이지, 서울시 인스타 등)과 연계 운영 예정
    추진일정
    • 전문가 자문회의 및 과업심의위원회 개최 : '24. 3.
    • 용역 공고, 제안서 접수 및 평가 : '24. 4.~5.
    • 우선협상대상자 협상 및 계약 : '24. 5.
    • 「상담도우미·실시간채팅상담」시스템 구축 : '24. 12.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190 1,440 1,500 60
    제목없음

    서울 스마트시티센터 운영

    소관부서
    서울디지털재단
    추진배경
    • 시민체감형 디지털 공공‧민간 서비스 혁신을 위한 지원 거점 필요
      • 민간의 서울시 공간·도시 정보 활용 및 디지털트윈 산업 발전 기회 필요
      • 고령층, 장애인 등 디지털 격차해소를 위해 눈높이에 맞는 서비스로 개선 필요
    • 시민-기업-전문가와 함께 ① 아이디어 발굴 ② 서비스 혁신 ③ 국내·외 실증 ④ 사례 확산 등 디지털 서비스 혁신 전주기 지원 인프라 운영
      • AI, 메타버스 등 스마트도시, 디지털 분야 초기기업들의 비즈니스 창출과 혁신 서비스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국‧내외 네트워크 교류 확대 필요
    사업내용
    • (트윈랩) 디지털트윈 콘텐츠 제작 지원(3식), 공간정보-메타버스 연계 교육(2회)
    • (포용랩) 디지털 사용성 개선 지원(20건), 디지털 사용성 품질 인증(10개사)
    • (활성화) 스마트도시 서울 정기 세미나(4회), 스마트시티 서울 CDO 포럼(4회)
    • (인프라) 스마트라이프존 조성 등을 통한 이용 편의성 및 디지털체감도 증진
    추진일정
    • 디지털 서비스 사용성 개선 지원 및 사용성 품질 인증 부여 : 3. ~ 12.
    • 디지털 트윈 콘텐츠 제작 기업 모집 · 선정을 통한 지원 : 3. ~ 11.
    • 공간정보-메타버스 연계 교육 프로그램 운영 : 4. ~ 9.
    • 스마트도시 서울 세미나, 스마트시티 서울 CDO 포럼 개최 : 5. ~ 12.
    • 스마트라이프존 조성 및 홀로그램 콘텐츠 고도화 등 인프라 고도화 : 3. ~ 12.
    <서울스마트시티센터(상암) 시설 개요>
    • (위 치) 에스플렉스센터 스마티움 8층
    • (규 모) 임대면적 1,361.27㎡(412.5평), 전용면적 545.49㎡(165.3평)
    • (시설구성) 네트워킹 라운지, 디지털 오픈랩(포용랩/트윈랩), SDF 스튜디오, 코워킹 스페이스, 글로벌 협력오피스, 교육장, 회의실 등
    • (보유장비) 뇌파측정기, 아이트래커, AR·VR기기, 각종 모바일 및 태블릿PC 등
    서울스마트시티센터공간: 디지털 포용랩, SDF스튜디오, 교육실, 디지털트윈랩, 코워킹 스페이스, 글로벌 협력오피스, 운영사무실, 회의실, 네트워킹 라운지, 휴게실
    서울스마트시티센터 공간표: 구분, 공간명, 공간설명으로 구성
    구분 공간명 공간설명
    네트워킹 네트워킹 라운지 스마트도시 이해관계자간 네트워크 교류 공간
    서비스 검증‧실증 트윈랩 市 공간정보 데이터 활용 서비스 개발‧실증공간
    (보유장비 : 공간정보 기반 AR 및 VR존(오큘러스2), 각종 모바일 기기)
    포용랩 디지털 서비스 사용성 분석‧개선 지원공간
    (보유장비 : 시선추적기, 뇌파측정기, 키오스크 등)
    비즈니스 지원 스튜디오 국내·외 화상회의, IR피칭 등을 위한 스튜디오
    코워킹 스페이스 스마트도시 예비창업가 및 스타트업 공유오피스
    글로벌 협력오피스 서울-글로벌 도시 간 교류를 통해 해외 혁신
    기술기업의 한국 진출을 위한 서울사무소 공간
    회의실 온‧프라인 하이브리드형 회의 공간
    인력양성 교육실 AI, 메타버스 등 스마트시티, 디지털 기술 교육공간
    사업비
    사업비 표: 구분,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로 구성
    구 분 2022 결산 2023 결산(A) 2024 예산(B) 증감(B-A)
    소요예산(백만원) 830 674 645 △28

    2023 시행사업

    • 메타버스 서울 추진

      디지털정책담당관
      • ㅇ 비대면 확대로 가상융합기술이 사회 전반에 新부가가치 창출 전망
        ㅇ 디지털 기반 新경험 욕구와 가상융합기술의 결합으로 메타버스 급부상
        ㅇ 비대면 디지털 전환 행정환경에 대응하고 신개념 공공서비스 제공 필요
    • 비대면 디지털 행정서비스 운영

      디지털정책담당관
      관련사이트
      • ㅇ 코로나19로 인해 사회 전반에 비대면·디지털 기술 적용 확산
        - 비대면 온라인 환경으로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안전한 디지털 기술 적용 필요
        ㅇ 법제도 변화에 따른 공공마이데이터 기반 마련
        - 민원처리법과 전자정부법 개정에 따라 공공기관이 보유한 시민데이터의 이동에 대한 자기결정권 제도적 기반 마련
    • 2023년 서울시 챗봇 시스템 유지관리

      정보시스템담당관
      • ㅇ 카카오톡 기반, 시정에 대한 각종 문의에 챗봇 ‘서울톡' 운영
        ㅇ 직원들의 공통적인 문의사항에 대해 즉시 답변해주는 직원 전용 챗봇 운영
    • 스마트 업무환경 조성을 위한 VDI시스템 구축

      정보시스템담당관
      • ㅇ 재택, 파견, 해외근무 등 다양한 유형의 근무방식 대응, 업무의 연속성과 효율성을 유지하는 근무환경 마련
        ㅇ 네트워크 보안, 단말의 중앙관리 등을 통해 강력한 보안기반의 안전하고 신속한 업무 협업환경 제공
    • 시립도서관 통합관리 및 아카이브시스템 구축

      문화시설과
      • ㅇ 서울지식 접근성 향상 및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반영한 이용자 친화적 도서관 서비스 체계 마련 필요
        ㅇ 시, 구, 교육청이 도서관 통합연계시스템 사용으로 도서관별로 회원가입 및 서비스 이용에 따른 시민 불편 해소로 이용편의성 제공 필요
    • AI 상담센터 구축․운영

      120다산콜재단
      • ㅇ 민원상담 응답률 향상과 업무 효율성 개선 필요
        - 다양한 IT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단순 반복문의 처리의 자동화를 통해 민원 응답률 향상 및 복합 심층 상담 서비스의 품질 제고
        ㅇ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인공지능 상담체계 마련으로 소통·안전 행정 강화
        - 음성인식 기반 실시간 이슈 분석 및 트렌드 알림을 통해 시민안전 발판 마련
        - 시민의 목소리(VOC) 분석을 활용한 소통 행정과 정책 환류 강화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