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거버넌스 연구
■ 고령층 친화 디지털 접근성 표준 이란?
지능정보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고령층이 디지털기기 및 정보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 중 모바일웹·앱 및 영상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활용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고령층의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접근성 표준입니다.
■ 표준의 구성
고령층 친화 모바일웹·앱 및 영상콘텐츠 접근성 표준은 고령층의 특성별 △10대 지침 △적용방법 △적용사례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0대 지침은 모바일웹·앱 및 영상콘텐츠를 설계할 때 준수해야 하는 가독성, 조작성, 이해성, 편의성, 심미성 등의 요소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 표준의 필요성
첫째, 코로나19 등으로 부각된 비대면 정보화 능력이 삶의 필수요건이 되면서 정보소외계층의 디지털 격차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그중 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이 가장 낮은 실정입니다. 정보소외계층이 없도록 모든 디지털 콘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공공성을 갖추고, 다수의 사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적인 지침과 가이드라인이 필요합니다.
둘째, 2020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15.7%로 현재 고령사회에 있으며, 2025년에는 20.3%에 이르러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인구구조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고령층의 지속적인 경제·사회활동 촉진 및 디지털에이징을 위해 고령층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디지털콘텐츠를 기획·개발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합니다. 또한 고령층의 경우, 영상콘텐츠를 통한 정보습득과 활용률이 높기 때문에 고령층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영상콘텐츠를 기획·개발할 수 있는 지침과 가이드라인이 필요합니다.
■ 표준의 적용대상
(모바일웹·앱)서울시를 포함한 공공기관에서 고령층이 사용 대상에 포함되는 모바일웹·앱을 기획하고 개발할 때, 본 표준에서 제시하는 10대 지침을 준수하여 제작하시기를 권장합니다.
(영상콘텐츠)서울시를 포함한 공공기관에서 고령층이 사용대상에 포함되는 정보전달(information) 및 온라인 학습(e-learning) 영상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할 때, 본 표준에서 제시하는 10대 지침을 준수하여 제작하시기를 권장합니다.
■ 표준의 활용
(모바일웹·앱)본 표준은 모바일웹·앱 개발 사업추진 시, 사업 발주자, 개발자, 운영자가 참조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사용자경험(UX)과 사용자인터페이스(UI), 디자인, 퍼블리싱, 개발 등 구현 과정에서 본 표준의 지침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전문가 또는 고령층 사용자 의견서를 받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영상콘텐츠)본 표준은 영상콘텐츠 제작 시, 사업 발주자, 영상 제작자, 관리자가 참조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영상제작 및 구현 과정에서 본 표준의 지침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전문가 또는 고령층 사용자의 의견서를 받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문의
- 정책연구팀 강민정 선임
- 문의: ☎ 02- 570-4636, kmj95@sdf.seou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