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 연구
■ 주요내용 ■
○ 본 보고서는 공공데이터포털, 한국관광 데이터랩, 서울문화포털, 서울열린데이터광장, 문화 빅데이터 플랫폼 등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글로벌 관광 도시 서울의 매력을 확인할 수 있는 펀시티(Fun City)와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한 사례를 살펴봄
- 펀시티는 ①문화행사, ②문화시설, ③공공서비스예약시스템 이용가능 시설, ④셀프사진관, ⑤마라톤/러닝, ⑥미식
도시, ⑦야간도시 총 7개 분야로 분류해 자치구별 현황을 분석함
○ 서울시 문화행사(공연, 전시, 축제, 교육)와 문화시설(공연장, 전시관, 미술관, 박물관)은 종로구와 중구 중심으로 활발
하며, 공공서비스 예약시스템 이용가능 시설인 공간시설이 가장 많은 곳은 마포구, 체육시설이 가장 많은 곳은
서초구로 확인됨
※ 최초 작성된 보도자료에 기재된 문화시설 수*는 공연장, 전시관, 미술관, 박물관 외 기타시설을 포함한 개수이며,
본 보고서에는 기타를 제외한 4종 시설(공연장, 전시관, 미술관, 박물관) 기준으로 기재되어 있음**
*종로구(383개), 강남구(115개) 순
**중구(290개), 종로구(228개), 동작구(105개) 순
○ 미쉐린가이드 선정(2016~19년 대상), 블루리본 선정(2~3개 리본대상, 2024년) 현황을 살펴보면, 강남구가 맛집이
가장 많았으며, 생활체육 활동인 마라톤과 러닝은 뚝섬(13개), 여의동(9개), 상암 월드컵 경기장(8개)로 많이 개최되고
있었음
○ 특히, MZ세대의 대표 문화로 자리잡고 있는 셀프사진관은 마포구, 종로구, 강남구 순으로 많았으며, 셀프사진관 개수가
많은 자치구 일수록 외국인 방문객수도 높은 추세인 것으로 확인됨
○ 마지막으로 펀시티와 인공지능 기술이 결합된 사례로 ① 인공지능 여행 플래너 ② 증강현실(AR) 문화체험 등의 사례를
담았으며, 자세한 내용은 이슈브리프 보고서에서 확인가능함
■ 목 차 ■
1. 펀시티 개요
2. 펀시티 조성 현황
3. 펀시티와 인공지능 기술 적용 사례
참고문헌
■ 문의
스마트정책팀 한민지 선임(☎02-570-4626, hmg1035@sdf.seoul.kr)